"물량공세 못 참겠다"

지역신문, 중앙지 불법판촉 지면 고발

자전거 경품 공세 등 신문 판매시장 혼탁상에 대한 비판이 지역언론을 통해서도 활발하게 제기되고 있다. 이들 신문들은 기사와 사설, 만평 등을 통해 이른바 ‘중앙지’들의 물량공세를 고발하고 있다.

경남 진주에 위치한 경남일보는 지난 24일자 ‘지방신문시장 분탕질’ ‘자전거신문·비데일보’ 기사에서 자전거를 내세운 동아일보 중앙일보 지국의 진주시 일대 판촉실태를 고발했다. “창원·마산 등지에서 이뤄지던 불법적인 자전거 경품 판촉이 진주 등 중소도시로까지 퍼지고 있어 중앙일간지의 지방시장 잠식이 도를 넘어선 것은 물론 가장 기본적인 상도덕마저 짓밟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는 것이다.

24일자 ‘중앙지의 경품제공 사태’ 사설은 “신문이 기사로서 승부를 거는 것이 아니라 자전거나 김치냉장고 등의 상품을 통하여 승부를 내려 한다면 차라리 제품 생산공장을 해야지 왜 신문을 만들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국제신문도 지난 21, 22일 기사와 사설로 이 문제를 다뤘다. 국제신문은 21일자 ‘일부 중앙지 불공정 신문판촉 물의’ 기사에서 부산시 해운대구 수영구 등에서 벌어진 자전거 판촉 현장을 고발한 데 이어 22일 ‘제 무덤 파기 자전거 신문판촉’ 사설을 게재했다. 사설은 “불법과 비리 척결에 앞장선다는 독과점 신문사들이 저지르는 불법 판촉행위는 블랙 코미디”라며 “신문사의 자율규약이 허구인 만큼 공정위에 칼자루를 넘겨야 한다는 지적이 공감대를 형성하지 않도록 특단의 자구책이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부산일보는 지난 15일 ‘신문 자전거 판촉 철저 단속하라’ 사설을 통해 공정거래위의 직접 규제를 촉구하기도 했다. 부산일보는 사설에서 “자율규약과 신문고시는 이미 효력을 잃고 있다. 공정거래위는 상거래질서를 바로 잡는 차원에서 신문판촉의 과당경쟁을 뿌리뽑도록 메스를 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 8일자 손문상 화백의 부일만평은 서울지역 주요 신문들의 경품 공세를 꼬집는 내용을 다뤄 눈길을 끌었다.

관련 만평은 광주타임스에서 이어졌다. 지난 23일자 광주타임스 만평은 거대언론이 자전거를 타고 지역신문을 짓밟는 내용을 그려 서울지역 신문사들의 경품 공세를 비판했다. 광주타임스 김복룡 화백은 “물량을 앞세운 중앙지들의 판촉은 독자확장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여론 독점의 폐해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그 심각성을지적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경남도민일보는 지난 7월부터 신문 판매시장 실태를 지속적으로 고발해왔다. 경남도민일보는 ‘서울일간지 불법경품 “정말 이래도 되나?”’ ‘서울일간지들 자전거 경품 즉각 중단하라’ ‘신문 판촉 농촌까지…이전투구·점입가경’ 등 관련기사와 만평을 통해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의 자전거 판촉 실태를 주요하게 보도했다.

김상철 기자 ksoul@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