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의겸 열린민주당 의원이 정부주도의 ‘공공포털(공영포털 혹은 열린뉴스포털)’을 최근 제안했다. 정부가 재정을 지원해 제3의 포털뉴스사이트를 만들고 학계·시민단체·언론사로 구성된 편집위원회가 양질의 뉴스를 노출시키자는 제안이다. 공영포털에 들어오는 언론사에는 정부광고를 우선집행하는 유인책도 내놓았다. 김 의원은 “현재의 포털은 일종의 ‘정치적 포르노’에 비유할 수 있다. 가학성과 선정성, 패륜적 조롱에 타락했고, 질낮은 기사가 모이고 고여 악취를 풍긴다”고 말했다. 비유가 심하긴 하지만 대체로 동의한다. 하지만 그 대안이 정부주도 포털이라는 게 당황스러울 뿐이다.
4월말 미디어감시시민연대가 주최한 ‘서울시장 보궐선거, 포털은 어떤 뉴스를 많이 보게 했나’ 토론회에 따르면 3월8일~4월6일까지 네이버 ‘많이 읽은 뉴스’ 톱20에는 중앙일보 8개, 조선일보 6개, 머니투데이 4개, 매일경제·이데일리가 각 1개였다. 기사 제목에는 “얼마나 외로우면” “박영선 아줌마 발언” “‘이단아 허경영’ 미친 존재감” 등의 단어가 쓰였다. 50만 조회수를 기록한 1위는 중앙일보 ‘中동포는 민주당 찍는다?…오세훈 발언에 거세진 투표권 논란’으로 외국인 혐오를 일으키는 기사였다.
이정환 미디어오늘 대표가 토론회에서 보론으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 뉴스 ‘많이 읽은 기사’ 언론사 점유율은 2015년 연합뉴스(23.6%), 뉴스1(8.2%), 뉴시스(7.3%)가 상위권이었다. 그런데 전면적인 인공지능 편집이 도입(2019년 4월)된 이후 2020년 점유율은 중앙일보(14%), 조선일보(8%), 연합뉴스(7.5%)였고 2021년엔 중앙일보(22.2%), 조선일보(12.1%) 한국경제(8.5%), 연합뉴스(8.0%) 4개사가 전체의 절반을 생산해냈다. 포털이 점차 편향되고 문제가 심각해짐은 명확하다.
그럼에도 ‘공영포털’이 대안이 될 수 없는 이유가 있다. 첫째, 공무원이 개입해 만든 제품은 시장에서 실적을 낼 가능성이 매우 낮다. 배달의민족과 경쟁하는 지자체 배달앱을 생각하면 된다. 둘째, 학계·시민단체·언론사가 참여하는 편집위원회는 또 하나의 이익단체가 될 것이다. 셋째, 기사 편집을 누가 할지 결정하기 매우 어렵다. 언론사 연합 포털이 과거에 잠시 논의됐으나 무산된 이유도 여기에 있다. 넷째, 포털에 참여하는 언론사에 정부 광고를 어떤 기준으로 배분할지 합의가 어렵다. 다섯째, 미디어 바우처제도는 전면적 도입까지는 검토해야 할 것이 많다. 섣불리 도입하면 극단적인 언론, 소위 ‘태극기 부대’와 ‘대깨문 언론’이 지원금을 싹쓸이해 오히려 저널리즘과 정치의 양극화를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다.
포털의 보수화가 아니다. 인공지능에 모든 걸 맡겨버린 포털의 무책임이 불러온 저널리즘의 선정성이 문제다. 정치권은 새로운 포털을 만들 게 아니라 지금 포털에 사회적 책무를 어떻게 지우게 할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 더 대담한 상상력으로 포털뉴스 없는 대한민국을 그려야 할 때다. 전 세계에 이런 식으로 포털이 모든 뉴스를 제공하는 나라는 대한민국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