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광고지표 조작 의혹, 뭘 노리나

[우리의 주장] 편집위원회

최근 한 보수매체가 “정부광고지표 점수가 조작돼 신문사 광고단가 순위가 뒤바뀌었다”는 의혹을 제기해 파문이 일고 있다. ABC 부수조작 논란으로 새로 만든 광고지표가 시행 1년6개월 만에 좌초 위기를 맞고 있다. 여당인 국민의힘은 한술 더 떠 검찰 조사 카드까지 꺼내들었고, 실제로 한 보수단체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과 구성원들을 검찰에 고발했다.


이들은 2021년 언론재단 정부 광고단가 자료에 열독률 조사 1위 조선일보와 6위 한겨레의 순위가 바뀌어 한겨레가 1위로 올라섰다며 문재인 정부의 특정 언론 지원 의도라고 주장했다. 실제 조선일보는 피해를 봤고, 특정 언론인 한겨레는 수혜를 입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기자협회보가 더불어민주당 유정주 의원으로부터 입수한 언론재단의 2021~2022년 정부광고 집행 내역을 보면 정반대의 결과다. 조선일보는 새 광고지표가 도입된 2022년, 1년 전보다 정부광고를 더 많이 받았다. 2021년 69억1600만원이던 수주액은 2022년 76억1100만원으로 10%가 늘었다. 반면 한겨레는 2021년 44억4800만원이던 정부 광고수주액이 2022년 42억100만원으로 5.6%가 줄었다. 광고주인 정부기관이나 지자체가 광고를 집행할 때 새로운 광고지표보다 다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부광고지표는 그저 참고자료 정도라는 사실을 방증한다.


보수매체가 떠들고, 여당이 가세하자 정부도 즉각 화답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정부 광고지표 운영 방식에 대한 전면 재검토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ABC 유료 부수 부풀리기 논란을 계기로 새롭게 마련한 광고지표가 퇴행할 조짐이다. 문제가 있으면 개선하고 더 나은 방향을 찾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지금 진행되는 의혹제기는 ‘내편 챙기기’란 의심을 떨치기 어렵다. 윤 대통령이 말한 ‘이권 카르텔’이 아닌가.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아야 하듯, 2021년 7월 당시 문체부 장관은 새 광고지표를 발표하며 언론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열독률이 광고 효과적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면, 언론중재위 직권조정이나 신문윤리위 주의·경고 건수와 독자위원회 설치 등 사회적 책임이 언론의 신뢰도 측면에서 중요하다는 것이었다. 허위정보가 남발하는 혼탁한 언론 환경에서 신뢰도 잣대는 열독률 못지않다. 문체부가 광고집행 핵심지표로 신문의 영향력과 함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한 까닭이다.


정부광고지표가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열독률 조사만 해도 사무실 등 영업장 구독이 빠진 점, 지역별 샘플 비율과 성별·나이 등 가중치 문제 등으로 공정성 시비가 있어왔다. 광고지표를 점검하며 더 촘촘한 설계가 필요한 대목이다. 내가 1등을 차지해야 하는데, 원하는 점수가 나오지 않자 시험문제가 잘못 출제됐다는 식의 접근은 오히려 문제를 꼬이게 할 뿐이다. 점수가 낮게 나왔다고 ‘조작과 편법’부터 들먹이는 태도는 잘못이다. 언론재단 노조가 낸 성명을 보면 재단 음해세력이 내부에도 있다고 적시했다. “왜곡 보도 이후 잘못된 사실이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도 담당 임원이 사태를 수습하려고 하지 않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고 꼬집었다. 적극적으로 시시비비를 가려야 할 엄중한 사안인데도 언론진흥재단은 반박 자료를 홈페이지에 게시했다가 삭제했다.


정권이 바뀌며 언론계가 거센 바람을 맞고 있다. KBS는 수신료 분리 징수가 곧 현실화될 처지에 있고, TBS는 내년 예산이 대폭 줄어 방송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 장담하기 어렵다. 정권의 전방위적 압박이 눈엣가시 언론에 쏠려 있다. 정부광고지표 조작 의혹 제기도 돈줄로 비판 언론을 옥죄려는 것은 아닌지 매우 우려스럽다. 다음 타깃은 누구인지 두렵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