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에도 '그들(They·제3의 성)'은 있었다

[이슈 인사이드 | 문화] 이소연 동아일보 문화부 기자

이소연 동아일보 문화부 기자

“나를 군주(Lord)라 부르지 말고, 숙녀(Lady)라고 불러 다오.”


고대 로마제국의 제23대 황제 엘라가발루스(204~222)는 부하들에게 이렇게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서기 218년에 집권해 222년 암살당하기 전까지 짧은 기간 황제로 집권했던 엘라가발루스는 현존하는 다양한 기록물에서 자신을 남성이 아닌 여성으로 인식한 것으로 보이는 흔적이 남아 있다. 남성 노예와 결혼한 뒤 아내 역할을 했다는 기록이 있다. 당대 한 의사에게 여성의 질을 만들어 달라고 간청했다고도 한다. 엘라가발루스를 형상화한 조각상과 그의 모습을 담은 동전엔 남성처럼 그려져 있으나, 어쩌면 엘라가발루스는 스스로 ‘여성’이라고 인식했을지 모른다는 얘기다. 그렇다면 오늘날의 우리는 그가 남성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로 당연히 그의 성 정체성 역시 남성일 거라 여겨도 될까.


영국 BBC 등에 따르면 최근 영국 노스하트퍼드셔박물관은 “엘라가발루스의 대명사로 ‘그녀(She)’를 사용하고, 그를 트랜스젠더 여성으로 간주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결정을 밝힌 노스하트퍼드셔 의회의 한 예술부 집행위원은 “우리는 엘라가발루스가 자신을 여성으로 받아들였으며, 어떤 대명사를 사용해야 하는지 명시적으로 밝혔음을 안다”고 설명했다. 엘라가발루스에 관한 기록물을 바탕으로 그의 성 정체성을 정정하려는 시도다.


중요한 것은 박물관의 이같은 결정이 하루아침에 내려지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서구 역사학계에선 엘라가발루스의 성 정체성에 대한 오랜 논쟁을 이미 거쳤다. 여전히 이견은 갈리지만, 학계에선 엘라가발루스를 둘러싼 기록물이 남성 중심적 사고관을 지녔던 당대 사관들에 의해 쓰였다는 데 공감했다. 어쩌면 엘라가발루스를 ‘퀴어의 아이콘’으로 만든 여성주의 서사는 그가 황제에 오르기엔 부적합한 인물임을 의도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후대 사관들이 지어낸 허구였을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이는 후대의 기록만으론 한 개인의 성 정체성을 손쉽게 규정할 수 없음을 시사한다. 학계에서는 엘라가발루스를 ‘그(He)’ 혹은 ‘그녀(She)’라고 부르기보다는 ‘그들(They)’이라 부르는 게 옳다는 견해도 나왔다. 당대 편견에 기반한 기록물로는 그의 성 정체성을 섣불리 판단할 수 없으므로, 제3의 성을 상징하는 대명사 ‘They’로 다른 성 정체성을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주장이다.


그렇다면 이런 의문이 남는다. 과연 한국사엔 엘라가발루스와 같은 존재가 없었을까. 그렇지 않다. 한국사에도 있었다. 신라의 제36대 왕, 혜공왕(758~780)이 대표적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35대 경덕왕의 외아들이었던 혜공왕은 “본래 여자로 태어날 운명이었으나 남자로 태어났으므로 돌날부터 왕위에 오를 때까지 언제나 여자들이 하는 장난을 하고, 비단 주머니 차기를 좋아했다”고 기록돼 있다. 이 기록을 토대로 전덕재 단국대 사학과 교수는 “(혜공왕은) 생물학적으로는 남성이었으나, 성 정체성은 여성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론했다.


혜공왕뿐일까. ‘그들(They)’은 우리 역사 속에 존재했을 것이다. 다만, 제대로 기록되지 않았을 뿐이다. 당대엔 이들의 성 정체성을 표현할 언어도, 상상력도 부재했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에게는 언어가 없어 지워진 이들의 존재를 가시화하고, 이들에게 덧씌워진 편견 섞인 당대의 평가를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역사적 상상력이 필요하다. 그들(They)이 없지 않고 있었다는 인식이 새로운 상상의 출발점이 되어줄 것이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