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 뉴스 저작권 사업을 하고 있는 한국언론진흥재단(언론재단)이 인공지능(AI) 학습용 뉴스데이터에 대한 상품을 마련하고 판매를 시작했다.
언론재단은 최근 보도자료를 통해 “AI 학습에 언론사가 생산한 뉴스데이터를 합법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며 9월30일부터 판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언론재단은 127개사의 뉴스저작물을 신탁 받아 관리 중인데 현재 신문, 인터넷신문, 방송사 97개 매체의 뉴스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언론재단 등에 따르면 해당 상품은 판매 대상을 ‘대규모 플랫폼 기업’, ‘일반 플랫폼 기업’, ‘소규모 기업 및 비영리 기관’으로 구분한 틀을 지닌다. 이 대상별로 ‘과거기사’, ‘현재기사’를 나눠 요금을 책정한 방식이다. ‘소규모 기업 및 비영리기관’의 경우 연구 목적에 한해 과거기사를 이 같은 상업용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도 있다. 다만 모든 상품은 실시간 뉴스 서비스 목적으로는 이용할 수 없고, 포털 및 포털 계열사는 판매 대상에서 제외된다.
구체적인 판매 요금은 각 언론사가 정한다. 신탁사들이 언론재단에 원하는 금액을 전하면 이를 바탕으로 기업 등과 협상을 진행한다. 이 금액은 매월 한 번씩 변경할 수 있다. 앞서 언론재단은 두 차례 설문을 통해 신탁사별로 적정 금액을 알려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앞서 언론재단은 올해 2월부터 신탁 언론사를 중심으로 TF를 구성해 이번 상품을 마련하기 위한 논의를 이어왔다. 새 유형의 뉴스상품 수요가 늘고 있지만 AI 학습용 데이터와 관련한 요금 체계가 없어 판매에 어려움을 겪어온 터였다.
두 차례 설명회, 언론 유관단체와 협의 등을 거치며 애초 제시한 안에 변화도 있었다. 당초엔 판매금액이 아니라 적정수준의 요금과 가격차를 둔 ‘가나다’ 세 그룹 중 어디에 포함될지 언론사별로 선택하게 한 방식이었다. ‘일반 플랫폼 기업’, 즉 ‘소규모 기업 및 비영리기관’을 제외하고 ‘연구용’을 위한 요금체계가 사라진 것도 사례다.
언론재단 관계자는 2일 “원래는 언론사별로 희망하는 요금에 대해 의견을 받아 그룹별로 뭉쳐보려고 했지만 사별 금액 수준 차이가 너무 커 계획을 없던 일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일반 기업도 영리목적인데 연구용이란 이유로 낮은 가격의 특례 상품을 제공하는 게 맞는지 신탁사들에서 의견이 나와 반영한 결과”라며 “AI 산업 발전에 기여한다는 취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연구용 상품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최근 생성형 AI의 뉴스데이터 학습을 두고 뉴스 저작권 침해 문제가 제기되는 상황에서 IT기업 등으로선 저작권 논란을 피할 수 있는 방안이 생겼다. 언론사 입장에선 새 수익원을 마련하는 길이 될 수도 있다. 무엇보다 이번에 제시된 판매방식이나 틀, 금액 수준은 향후 ‘언론사-AI 기업’ 간 별도 협상에서 참고될 여지가 있다.
언론재단은 앞선 보도자료에서 “뉴스는 정제된 한국어로 작성되는 점, 시의성이 높은 점, 검증된 정보라는 점에서 데이터 가치가 높다”며 “재단은 이번 상품 출시를 통해 인공지능 시대에 이용자와 저작권자 모두가 만족할 만한 뉴스데이터 시장이 형성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