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TN 최대주주 유진그룹의 유경선<오른쪽> 회장이 지난해 말 YTN 간부들을 참석시킨 송년회 자리가 뒤늦게 논란이 되며 내부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노조는 4일 유 회장이 당시 간부들에게 반말을 하고 여성 앵커를 찾는 등 모욕적 언행을 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폭로한 바 있다.
YTN기자협회는 이날 성명에서 “비상계엄 혼란이 극에 달한 지난해 12월20일 밤, 유 회장이 벌였다고 알려진 만행은 그야말로 기함할 수준”이라며 “사실이라면 유 회장은 YTN 전체를 상대로 갑질 만행을 저지른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최대 주주 권력을 앞세워 한밤 술자리에 YTN의 얼굴인 앵커를 호출할 수 있다고 생각한 몰상식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며 유 회장의 즉각적 사과와 동조 간부들의 입장 표명·보직사퇴 등도 요구했다.
앞서 전국언론노동조합 YTN지부는 YTN 임원, 본부장, 실국장급 간부 30여명이 참석한 당시 송년회에서 유 회장이 반말을 하며 처음 본 보도·영상국장을 양옆에 착석시키고, 여성 앵커를 찾았다는 성명을 냈다. YTN지부는 성명에서 “(유 회장 발언에) 김백 당시 사장이 보도국장에게 누구든 부르라고 다그쳤고, 보도국장은 여성 앵커에 전화해 오라고 지시했다”고 적시하며 “방송의 신뢰도를 좌우하는 앵커를 단지 여성이라는 이유로 술자리 장식품 정도로 취급한 건가”라고 비판했다.
곧장 YTN 측은 공식 입장을 내 사실관계를 반박했다. 사측은 “임직원 간 화합의 자리였으며 모욕적 행위나 강압적 상황은 전혀 존재하지 않았다. 회장이 처음 대면한 일부 실국장에게 자리를 같이하자고 권유한 것이 전부”라며 “원래 앵커팀장에게 참석을 요청했으나 개인 사정으로 참석이 어려워, 이를 대신해 대표하여 해당 앵커가 잠시 참석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특정 성별을 이유로 불렀다는 주장은 명백히 사실이 아니”라며 회사 이미지 실추 등 해사행위에 대해 “법적 대응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특정 성별을 부른 게 아니란 해명에 YTN지부는 5일 다시 성명을 내고 “그렇다면 앵커라는 특정 직종은 왜 불렀나”, “이 자리에 실국을 대표한 자 이외에 따로 참석한 직군이 있었나”라고 반박했다. 특히 참석 경위에 대해 “노조가 확인한 바에 따르면, 보도국장은 전화로 앵커팀장의 참석이 어렵다는 걸 확인하자 앵커팀이 아닌 제3의 보직부장에게 연락했고, 이 보직부장도 참석이 여의치 않다는 사실을 파악한 뒤 해당 앵커에게 전화를 걸었다”며 “보도국장이 연락한 이들의 공통점은 ‘특정 성별’”이라고 지적했다.
이후 YTN기자협회를 비롯해 YTN 영상기자협회·방송기술인협회·여기자협회 등 직능단체가 각각 사내 게시판에 성명을 내고, 여러 연차·직군의 직원 10여명도 성토 글을 올렸다. 8일 김응건 YTN 해설위원(당시 보도국장)과 회사 측의 입장·설명 글이 다시 올라와 사내 게시판, 블라인드 앱에서 비판이 나오는 등 격앙된 내부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직원들은 게시글에서 “특정 직업과 성별에 대한 유경선 회장의 인식에 모멸감을 느꼈다”, “‘말씀이 좀 과하시네요’라고 소심하게 저항한 간부, 정말 단 한 사람도 없었나”, “내란 동조 세력, ‘술자리 만행’ 유경선 회장 일당들은 당장 YTN에서 손 떼고 나가시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