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부처가 그렇지만 교육부 장관은 영(令)이 서는 게 중요합니다. 교육부 공무원뿐 아니라 800만명의 유·초·중·고와 대학·대학원생, 그리고 그들의 부모 등 각기 생각이 다른 교육 주체들을 설득해야하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 교육은 욕망 투쟁의 장이기에 장관의 위신은 더 중요합니다. 교육부 장관에게는 유독 엄격한 철학·도덕적 잣대를 들이대는 건 이 때문입니다.
한국일보 사회정책부 교육팀(유대근·최은서 기자)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충남대 총장 재임 시절 공개한 ‘공직자 재산’ 자료를 살펴보다 자녀 중 한 명이 미국 명문대의 신용조합에 가입돼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 대학 학생이나 교수, 교직원 등만 가입할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이 학교에 진학하려면 자녀가 조기유학을 했을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자녀 불법 조기유학은 치명적인 문제일 수 있습니다. 이 후보자가 실제 장관이 돼 ‘공교육 강화’를 외친다 한들 교육 주체들의 신뢰를 얻지 못할 것 같았습니다. 저희는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취재했고 그 결과가 ‘이진숙 교육부 장관 자녀 불법 조기유학 연속 보도’였습니다.
기사를 쓸 때 늘 힘을 실어주시는 이진희 사회정책부장과 김영화 뉴스룸 국장께 특별한 감사를 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