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광주·충청·영남권 지역언론 '지선 공약 합동검증팀' 가동

기자 14명 '지방의원 공약 추적단'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7개월 앞둔 가운데, 지난 선거에서 약속한 지방의원 공약들이 여전히 ‘깜깜이’ 상태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방의회 홈페이지에조차 의원들의 공약이 기재돼 있지 않아, 지역 주민이 공약 이행 여부와 의정활동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창구가 부재한 탓이다.


이에 인천·경기의 경기일보, 광주·전남의 광주일보, 대구·경북의 영남일보, 대전·충청의 충청투데이 등 4개 권역 지역언론에서 14명의 기자가 힘을 모았다. 이들은 지방의원의 의정활동 현황과 공약 이행 실태를 점검하기 위해 ‘지방의원 공약 추적단’을 구성했다.

특별 취재팀 결성을 주도한 이호준 경기일보 경제부장은 2013년과 2025년 두 차례 경기도 광역의원들의 공약을 점검하는 기획 보도를 했다. 첫 보도 직후 경기도의회가 홈페이지에 의원 공약을 공개하는 성과가 있었지만, 12년이 지난 후 다시 살펴본 의회 홈페이지에는 공약란이 비어 있었다. 제주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의 의원들이 공약을 공개하지 않는 상황이었다. 이 부장은 “홈페이지는 주민이 의정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창구이므로, 홈페이지에 관련 내용이 없다면 사실상 공약을 검증할 방법이 없다는 뜻”이라며 “이런 문제의식을 다른 지역 언론 데스크들과 공유하자 ‘지역 언론이 나서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지방의원 공약 추적단은 전국 공통의 지방정치 문제를 다루는 ‘공통 기사’를 함께 연재한다. 2일 보도한 첫 공통 기사에서는 의정보고서 미발표 등 의정활동 보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지역 정치의 실태를 지적했다. 지역 언론이 한 가지 주제를 함께 취재해 공동으로 보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역 특성을 반영한 ‘개별 보도’도 이어간다. 특히 호남과 영남 지역은 특정 정당이 우위를 점하는 정치 구조에 주목한다.


백희준 광주일보 기자는 “민주당이면 뽑힌다는 인식이 있다 보니 공약이 부실하거나 아예 없어도 뽑히는 경우가 있다”며 “이를 지적하기 위해 공약을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권혁준 영남일보 기자 역시 “단독 출마한 의원들이 선거 공보물조차 내지 않고 당선되는 상황은 국민의 알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란 점을 첫 기사에서 지적했다”며 “앞으로는 공약의 현실성 또한 따져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공약 추적단의 목표는 내년 지방선거 공천 과정에서 ‘공약 이행 여부’가 평가 항목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각 지역 의회 홈페이지에 지방의원 공약을 공개하도록 유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조사무엘 충청투데이 기자는 지방정치 활성화를 위해 “여러 지방 권역에서 함께 목소리를 내는 것이 힘이 실릴 것이라 생각했다”면서 “실제적인 반향을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