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 100인위 구성…민의 반영을"
총선보도 순회토론회
취재팀 | 입력
2004.03.03 00:00:00
“언론통한 정보습득 여전히 어렵다” 지적
◇ 강원
총선 출마자의 정책 공약에 유권자가 요구사항을 미리 제시, 반영되도록 ‘유권자 100인 위원회’를 구성하자는 제안이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지난달 26일 춘천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한림대 정연구 교수는 4·15총선을 앞두고 강원지역에서 먼저 시민저널리즘, 공공저널리즘을 실현하자며 이와 같이 제안했다. 정 교수에 따르면 유권자 100인 위원회는 지역민들로 구성된 ‘300인 서베이’를 실시해 민의를 수렴하고 이를 총선 출마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에 대해 강원지역 주요 언론 보도책임자들은 이와 같은 제안에 공감하고 구체화되면 적극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히 강릉MBC 정영식 보도본부장은 유권자 100인 위원회에 대해 “획기적이며 실현 가능성 또한 충분하다”며 “실천으로 옮겨가자”고 말했다.
강원일보 이동진 편집국장도 “이미 사고를 통해 정확한 보도, 감시기능 강화 등 8가지 원칙을 공개한 바 있다”며 “유권자 중심의 공명정대한 선거보도를 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강원도민일보 방명균 편집국장은 “선거가 지역 내 갈등요인으로 남지 않도록 선거 이틀 후인 4월 17일 당선자를 포함, 후보들이 모두 모이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광주·전남
지난달 25일 광주 무등산관광호텔에서 열린 광주전남지역 토론회에서는 어떻게 균형 잡히고 객관적인 보도를 할 것인가에 대한 지역 편집·보도국장들의 고민들이 이어졌다.
광주MBC 김형주 보도국장은 “이번 총선에서 처음으로 1인2표제가 도입되는 만큼 후보뿐 아니라 각 정당의 정책과 비전을 충분히 전달할 것”이라며 “쉽지는 않겠지만 수도권과 다른 지역의 이해를 대변하는 보도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전남매일 배병화 편집국장은 “이번 총선을 새 정치, 바른 선거문화 정립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균형잡힌 보도를 위해서는 취재 기자의 수적 열세 등 현실적 난제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이라고 밝혔다.
광주방송(KBC) 오경환 보도국장과 김기태 광주타임스 경제부장 등은 “후보자 토론 등을 추진할 때 이른바 당선 가능성이 높은 3당 후보 중심으로 할 것인가 아니면 진보정당과 무소속 등 군소후보까지 포함시킬 것인가 고민이 많다”며 언론사들의 현실적인 어려움을 소개했다.
◇ 충북
‘미디어정치’ 시대가도래했지만 유권자들이 언론을 통해 자신이 선택할 후보자나 지역내 현안에 관한 정보를 얻기는 여전히 힘들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달 27일 청주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발제를 맡은 순천향대 장호순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낙선운동과 같은 시민운동이나 정당 내부 개혁운동이 실패한 이유는 언론의 정치개혁의지가 부족했기 때문”이라며 “후보자들이 전달하고 싶은 뉴스가 아니라 주민들이 알고 싶어 하는 뉴스를 제공하는 언론문화가 선거풍토로 정착될 때 정치와 언론 모두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충북민언련 이수희 사무국장은 “지난 2002년 지방선거 당시 충북지역 일간지들은 한나라당에 우호적인 보도를 하는 등 편향적인 불공정보도와 일기예보식 추측성 기사, 여과 없는 중계보도 태도를 보였다”며 “각 언론사에 총선보도 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는 것은 물론 기자들을 대상으로 공정보도를 촉구하고 총선보도감시단을 모집해 모니터 활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토론자로 나선 충청일보 육심무 정치·경제부장은 “유권자 중심 보도에 대한 주장이 늘 있어 왔지만 일선에서는 구체적인 모델이 잘 그려지지 않아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며 “이번 총선에서는 시민단체들과 공동으로 후보자 지상정책토론회를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광주=김진수 기자 hama@journalist.or.kr
청주=조규장 기자 natasha@journalist.or.kr
춘천=홍석재 기자 forchis@journalist.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