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기사 해명자료 증가

국정홍보처, 하루 2∼4건 사이트 올려




   
 
   
 
언론사들이 지난해부터 ‘오보 없는 언론’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정부부처의 해명자료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참여정부가 오보에 대해 법적조치 등 강력한 대응에도 불구하고 정부 부처는 매일 2~4건씩 기사에 대한 ‘해명자료’를 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해명자료는 단순한 해명성 글이 아니라 기사에 대해 조목조목 반론을 제기하거나 ‘사실이 아니다’는 것을 분명히 밝히고 있어, 일선기자들이 앞으로 취재된 내용을 한번 더 확인하는 ‘정확한 취재자세’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같은 사실은 본보가 최근 5개월간 정부 각 부처의 해명자료를 사이트에 모아 놓은 국정홍보처의 사이트 ‘그건 이렇습니다’ 코너를 분석한 결과 밝혀졌다.

국정홍보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54건이던 기사 해명자료가 12월에는 63건으로 늘었다. 또 올 1월에는 76건, 2월 73건, 3월(29일 기준) 73건 등으로 나타나 지난해 보다 오히려 증가했다. 특징적인 것은 신문사와 통신사가 해명자료의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방송사의 경우는 미미했다.

실제로 3월의 경우 신문·통신사는 해명자료가 61건인데 반해 방송사는 7건에 불과했다. 특히 연합뉴스의 경우 3월 한 달 동안 14건의 해명자료를 받아 1위를 기록했으며 문화일보 7건, 중앙일보·한겨레 각각 6건 등의 순이었다.

국정홍보처 채수일 국정브리핑 제작 담당자는 “정책을 미리 발표하기도 전에 쓰거나 일부 사실을 전체 사실인 것처럼 보도해 해명이나 반론이 제기된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정홍보처의 ‘그건 이렇습니다’ 코너는 본래 언론 보도에 대한 사실관계를 국민들에게 알리고 궁극적으로는 언론의 오보에 적극 대응하자는 취지에서 개설됐으며 해명자료에는 객관성을 위해 언론사와 해당기사 그리고 해당부처의 입장, 담당관 이름, 전화번호 등을 함께 첨부하고 있다.

김신용 기자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