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사 공정보도위 활동 '지지부진'

본업 병행 힘들어 참여 소극적…의견 외면해도 강제력 없어 '한계'




   
 
   
 
“독자 신뢰성 고려, 사명감 가져야” 지적



평기자들이 자사 지면에 대한 의견과 비평, 대안 등을 제시하기 위해 만들어진 각사 노조 산하 공정보도위원회 활동이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부 신문사의 경우 공보위 활동이 전무하거나 명맥상 유지되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지만 공보위가 지면제작과 관련한 기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편집국으로 전달할 수 있는 사실상의 유일한 통로라는 점에서 개선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현황>

현재 각사마다 조금씩 명칭의 차이는 있으나 공보위가 있는 중앙 신문사는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신문 등 모두 8곳.



국민 동아 문화 중앙 등 4개 신문사는 노조 창립 이후 현재까지 ‘공정보도위원회’라는 이름으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와 달리 경향 서울 조선 한겨레 등은 각기 다른 명칭으로 운영되고 있다. 경향은 2002년부터 자주언론실천위원회에서 독립언론실천위원회로 명칭을 변경했으며 서울도 올해부터 공보위에서 지면제작개선위원회로 명칭을 바꿨다.



조선은 공보위를 따로 두지 않는 대신 단협 개정안(2004년)에 따라 노보편집위원회에서 같은 기능을 하게끔 규정하고 있다. 한겨레는 지난 5월 새 노조집행부 출범과 함께 지면제작개선위원회에서 진보언론실천위원회로 이름을 변경했다.





<운영>

공보위는 대부분 간사와 위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편집국 기자들로 구성된 공보위 위원들은 대개 10명 안팎. 이와 달리 서울은 가장 적은 2∼4명, 중앙은 가장 많은 25명으로 구성돼 있다.



공보위 활동은 기자직을 병행해야 하는 위원들의 특성상 대부분 부정기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조선과 중앙은 정기적인 모임을 갖고 있다. 조선은 매월 1, 3째 수요일, 중앙은 매월 2, 4째 수요일에 각각 노조편집회의나 공정보도회의를 갖는다.



공보위에서 발행하는 소식지 역시 대부분 부정기적으로 발행되고 있으며, 조선과 중앙만 정기적으로 소식을 전하고 있다. 조선은 8명의 노보편집위원들이 노보를 통해 지면 평가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매주 1회 발행하고 있다. 중앙도 기자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다른 소식지와 달리 논의된 내용을 월 2회(1, 3째 주초) 이메일을 통해 모든 기자들에게 전달하고 있다.



이 밖에 각사마다 독립언론실천위(경향) 공보위보고서(국민) 공보위광장(동아) 공보위소식(문화) 지개위소식(서울) 진보언론(한겨레) 등을 통해 편집방향이나 기사내용 등을 평가하고 있다.



<문제점>

이들 위원회의 문제점은 한마디로 기대에 비해 활동이 미진하다는 점이다.

특히 공보위 위원들이 본업인 기자직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자기 분야 이외는 무관심하다. 또 바쁜 일과로 인해 공보위 활동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



각 신문사의 공보위 간사들은 “위원들이 대부분 전임이 아니기 때문에 공보위 활동에 총력을 기울일 수 없는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또한 공보위에서 지적된 의견을 편집국에서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강제할 수 없다는 점도 공보위 활동을 위축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겨레 박용현 간사는 “논의된 의견을 편집국에서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강제할 수 없어 회의를 느낄 때가 많다”면서 “이럴 경우 비판의 수위를 높이는 것만이 유일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언론노조 이재국 부위원장은 “예전에 비해 지면감시활동에 대한 절박성이나 동기부여 등이 약해졌기 때문에 공보위 활동이 미진하다”며 “그러나 독자들로부터 신뢰성을 고려할 때 오히려 현업에 있는 기자들이 사명감을 가지고 더욱 열심히 위원회 활동에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창남 기자 kimcn@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