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컨틴전시 플랜' 가동

비대위 6개 실무팀 및 자문위원단으로 확대

<속보> 한국일보 편집국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고재학, 이하 비대위)가 장재구 회장의 마지막 증자 약속 기일로 정한 5월 이후에 대비한 본격적인 움직임에 나섰다.



비대위는 19일 5월말 증자 무산에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불의의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사전 계획)을 가동하기 위해 6개 실무팀과 편집국 부장단과 논설위원 등으로 자문위원단을 구성하는 등 비대위를 확대 개편했다. 이는 △한국일보 투자자 물색 △채권단과의 대화채널 가동 △노조와의 협력체제 구축 △신문개혁안 마련 등에 나서기 위한 포석이다.



비대위는 실무팀 구성에 있어 채권단 협상팀, 인수자 물색팀, 신문개혁팀, 홍보팀, 법규팀, 조직관리팀 등 실무 작업을 맡을 6개팀으로 나눴다.



채권단 협상팀은 경영진에 대한 문제를 채권단과 협상하고, 제3자 인수방안을 모색하며, 한국일보 제호 인수 등을 위한 협상을 추진한다. 인수자 물색팀은 증자가 실패할 경우 인수자를 찾는 역할을 맡는다. 신문개혁팀은 한국일보 지면 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새로운 수입모델을 개발하는 역할을 맡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홍보팀은 비대위의 내부 성명서 및 소식지를 발간하는 등의 역할을 하고, 법규팀은 경영진에 대한 민ㆍ형사상의 책임을 물을 조치를 강구함과 동시에 법정관리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조직관리팀은 재정관리 및 편집국의 조직력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둘 방침이다.



이는 업무분담을 통해 더욱 조직적이고 능률적으로 한국일보 사태를 해결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매주 비대위 전체회의를 개최하여 진행상황을 추가적으로 점검하고 상황의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려는 비대위의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돼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실무팀 관계자는 “기존 비대위가 1년 이상 지속됐고 또 비상임이다 보니 능률과 효율에서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5월까지 경영진의 증자 약속을 기다리되, 편집국에서 체계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행동에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