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부음] [인사] 아시아투데이
▲ AD마케팅국장 겸 독자마케팅국장 손채목 ▲ 비즈라이프부장 이도윤 ▲ 사회부장(의학전문기자) 김시영 ▲ 전국부장 주성식 ▲ 건설부동산부장 최성록 ▲ 아시아투데이 부동산연구소장(부동산전문기자) 조철현
[인사·부음] [인사] 한국경제신문
▲ 독자서비스국 독자지원부장(부국장대우) 김양진 ▲ 〃 디지털마케팅부장 이강준 ▲ 〃 독자마케팅부장 이정수 ▲ 〃 인쇄마케팅부장 나영주 ▲ 한경영남프린팅 대표 윤성일
[인사·부음] [인사] SBS
◇ SBS[국장급] ▲ 정책국장 최대식 [부국장급] ▲ 편성사업본부 홍보팀장 안교진 ▲ 제작본부 외주제작팀장 이동협 ▲ 보도본부 논설위원실 박진호 ▲ 보도본부 뉴스혁신부장 윤영현 ▲ 보도본부 미래부장 이정애 ▲ 경영본부 노사협력팀장 정규진 ▲ 경영본부 TV기술팀장 조영훈 [부장급] ▲ 보도본부 디지털뉴스제작부장 최희진 ▲ 보도본부 보도IMC팀장 심영구 ▲ 경영본부 재무팀장 최세영 ▲ 제작본부 디지털콘텐츠담당 박형주 ▲ 경영본부 시설담당 박기동 ▲ 편성사업본부 아나운서팀 윤현진 ▲ 제작본부 안윤태 ▲ 제작본부 김원태 ▲ 제작본부 이경
[인사·부음] [인사] 경향신문
◇ 부국장▲ 편집국 정치부문장 구혜영 ▲ 논설위원실 논설위원 안홍욱 ▲ 문화부장 박경은 ▲ 교열부장 김선경 ▲ 미디어전략실 기술개발팀장 박광수 ▲ 공무국 윤전1팀장 신재선 ▲ 사진부 선임기자 정지윤 ▲ 사진부 선임기자 서성일 ▲ 콘텐츠편집부 선임기자 서영찬 ▲ 콘텐츠편집부 선임기자 정진호 ▲ 콘텐츠편집부 콘텐츠편집1팀 선임기자 이승규 ▲ 교열부 선임기자 김숙자 ◇ 부장▲ 국제부장 최희진 ▲ 정책사회부장 이윤주 ▲ 엔터테인먼트부장 강주일 ▲ 경제부 임지선 ▲ 전국사회부 박미라 ▲ 전국사회부 송진식 ▲ 스포츠부 김은진 ▲ 경영지원국 시
[인사·부음] [인사] 에너지경제신문
▲ 사장 정선구
[인사·부음] [인사] 미디어펜
▲ 부사장 겸 편집국장 김태균 ▲ 정책경제부 부장대우 구태경 ▲ 생활경제부 부장대우 이미미 ▲ 산업부 차장대우 박준모 ▲ 건설부동산부 차장대우 서동영 ▲ 광고마케팅국 부장대우 이영우
[미디어] 사고현장서 정보 소외… "귀동냥 취재, 오보 우려"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로 기자 수백 명이 전남 무안국제공항으로 파견돼 며칠째 취재를 이어가는 가운데 재난 현장이 오히려 정보에서 배제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사고 관련 정기 브리핑이 세종시 국토교통부 청사에서 이뤄지고 정작 무안공항에서는 브리핑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이다. 기자들은 현장에서 브리핑이 없는 건 취재 편의의 문제가 아니라 정확한 재난보도를 어렵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무안공항에서 일주일은 머물 예정이라는 한 기자는 유가족 대표가 오정보를 쓰지 말라고 당부하기도 했는데 조각조각 귀동냥으로 정보를 받아서 쓰는 형편이라며 자칫
[미디어] 불법계엄 보도를 가짜뉴스 치부… '내란 엄호'는 현재진행형
123 불법계엄 사태가 한 달 가까이 지났지만, 내란죄 핵심 피의자들의 혐의 지우기는 계속되고 있다. 언론의 의혹 보도를 싸잡아 가짜뉴스로 치부하며 언론탄압을 정당화하는 등 언론통제 시도는 계엄 후에도 여전히 진행형이다.내란사태 핵심 피의자인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변호인단은 12월26일 기자회견을 하면서 특정 언론사들의 취재를 거부했다. 앞서 변호인단은 MBC, JTBC 등은 기자회견에 참석할 수 없다고 밝혔고, 이날 기자회견장을 찾은 KBS, MBN, 채널A, 뉴스타파, 오마이뉴스, 뉴스핌 등도 취재가 거부됐다. 변호인단 측은
[미디어] "내란사태 이어 제주항공 참사… 시민과 연대해 용기내야"
한국기자협회 회원 여러분 안녕하세요. 을사년 새해 인사드립니다. 한국기자협회 회장 박종현입니다.새로운 시작을 맞이하게 되면 희망을 이야기해 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신년엔 참담함과 우려의 마음이 더 짙습니다. 혼란과 어둠이 덮쳤던 2024년 갑진년의 불행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지난해 12월3일 계엄을 선포한 피의자 윤석열 대통령의 내란사태 야기 이후 우리는 극도의 불안과 분노의 심정으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피의자는 폭동을 일으키고도 한 달 가까이 안전한 관저에서 궤변만 일삼았습니다. 2024년 마지막 날 피의자에 대
[미디어] 수신료 통합징수, 7월 시행 가능할까
TV 수신료를 전기요금과 통합해 고지징수할 수 있도록 정한 방송법 일부개정법률안(수신료 통합징수법)이 12월2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수신료를 주요 재원으로 둔 KBS의 구성원들은 해당 법안 통과에 일제히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수신료 분리 고지징수 전격 시행 6개월여 만에 통합징수법 공포시행을 앞두게 된 상황에서 KBS는 한국전력과 12월31일로 만료된 수신료 위수탁 계약 갱신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이날 국회 본회의에 상정된 방송법 개정안은 재석 의원 261명 중 161명 찬성으로 가결됐다. 수신료 통합징수법이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