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딜레마 자의적 해석"

공영방송 보도 태도·정부 대처방식 비판
한국 강병태 논설위원 칼럼 눈길

한국일보 강병태 논설위원이 ‘강정구 교수’ 파동을 둘러싼 한국사회의 파열음에 대해 한사람의 언론인으로서 현 정부에 대해 뼈아픈 충고를 했다.



강 논설위원은 한국 25일자 30면 ‘강병태 칼럼’을 통해 한국사회의 지적 탐구는 무엇보다 현실의 딜레마적 상황을 인식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며 “강 교수가 북한의 통일 전쟁에 미국이 개입하지 않았으면 진작 통일이 됐을 것”이라고 주장한 것은 “너그럽게 보아 유치한 딜레탕티즘, 지적 도락, 나쁘게 보자면 사회가 딜레마적 생존 환경에서 합의한 국가 정체성을 부정하는 모반”이라고 지적했다.



강 위원은 이 칼럼에서 “강 교수 처벌문제를 다투는 주장들도 현실의 딜레마를 잊은 듯 강파르기만 하다”면서 △보수여론이 형사처벌과 인신구속까지 촉구하는 것은 지나치며, 법적 제제는 사법부가 고민할 몫으로 남겨 둬야 한다 △처벌반대여론의 경우도 사상과 표현의 자유가 절대적 가치인양 주장하거나 학자의 주장은 오로지 학문적으로만 시비해야 한다는 논리는 현실적으로 적실치 않다는 등의 주장을 폈다.



그는 특히 “이러한 빗나간 다툼 속에서 누구보다 근원적인 딜레마에 신경 쓰고 갈등 완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책임은 정부에 있다”며 “현실과 이상을 함께 돌보도록 여론을 설득하고, 헌법적 이상과 국가의 정체성이 걸린 다툼은 사법부의 판단에 맡기자고 해야 할 정부가 스스로 헌법적 이상과 정의와 시대정신을 구현하겠다고 나섰다”고 꼬집었다.



강 위원은 이밖에 “학문적 엄밀함이 없는 주장을 공영방송이 앞장서 대접하는 현실이 분란을 부추겼다”며 “이 정부는 강 교수와 마찬가지로 지적 상상력은 있을지 모르나 사회와 국가가 안고 있는 딜레마의 역사 정치 전략적 뿌리와 연혁은 무시하거나 자의적으로 해석하는 행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공영방송의 보도 태도와 정부의 대처방식을 비판했다.



강 위원의 칼럼에 대해 한 후배 기자는 “강 교수 파동 이후 혼란스러워진 한국 사회와 관련, 현실과 이상 사이의 균형을 촉구하는 한 언론인으로서의 고민이 녹아있는 것 같다”고 촌평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