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사태, 언론인들이 연대해야"

언론정보학회 '편집권 침해와 한국 저널리즘의 위기' 토론회

 



   
 
  ▲ 한국언론정보학회가 4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칼슨홀에서 개최한 '편집권 침해와 한국 저널리즘의 위기' 토론회에서 참가자들이 토론을 이어가고 있다.  
 

한국일보의 편집국 폐쇄 사태를 둘러싸고 학계 인사와 언론인들이 자성의 목소리를 높였다. 동시에 ‘편집권 독립’을 위한 법제화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한국언론정보학회가 4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 레이첼칼슨홀에서 개최한 ‘편집권 침해와 한국 저널리즘의 위기’ 토론회에서 손석춘 건국대 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는 “저널리즘을 지켜온 현장 기자들이 매우 약화돼 사주의 모습이 이렇게 비상식적으로 변질됐다”며 기자들 간의 ‘연대’를 강조했다.


손 교수는 “17개 언론사의 2012년 입사 기자들이 공동성명을 낸 것을 보고 눈물이 났다”며 “무지막지한 사주의 횡포가 명확히 드러나는 한국일보 사태를 계기로 아래서부터의 연대, 의지가 모아진다면 한국 언론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2년에 입사한 17개 언론사의 막내 기자들은 지난달 28일 한국일보 사태 해결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하며 한국일보 선배 기자들의 투쟁을 적극 지지한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이에 손 교수는 “한국일보 기자들의 싸움에 대해 현장에 있는 기자들이 조금 더 적극적이어야 한다”며 “2011년, 2010년, 2009년 입사자 등 아래서 위로 올라가는 운동으로 확산됐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이충재 한국일보 논설위원과 최진봉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편집권의 독립을 위한 법적ㆍ제도적 마련을 촉구했다.


이 위원은 “한국일보는 민주화 이후 언론사 최초로 편집강령에 편집권 독립을 명문화한 언론사”라며 “편집권 독립의 제도적 장치를 아무리 잘 만들어놔도 사주가 이를 지키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고 무기력하다는 걸 보여준 대표적 사례다. 앞으로 논의의 초점은 편집권 독립에 대한 제도를 지킬 강제성을 마련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 교수도 “언론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책무는 일반기업과 다르게 취급돼야 한다”며 “신문법에서 편집의 자유와 독립을 명시하고 있는데 강제가 아니기 때문에 지키지 않는 거다. 이것을 지키지 않으면 (사주가) 물러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발제를 맡은 이승선 충남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전통을 가진 한국일보가 송두리째 날아갈 위기인데도 한국 사회는 큰 위기감을 느끼지 않는 것 같다”며 “미디어의 존재와 역할에 대한 인식이 너무 옅어져 있다. 이러한 상황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반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