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본문 링크 서비스 가로막는 포털

상업적 활용 등 이유로
동영상·소셜댓글도 삭제
출처 우대 구글과 대조

국내 포털들이 언론사들로부터 송고 받은 기사 본문 내 ‘하이퍼링크’를 일괄 삭제하는 데 대해 업계에서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포털은 트래픽 유입과 광고수단으로의 악용, 보안문제 등을 이유로 들고 있지만 이 같은 조치가 온라인 저널리즘의 영역을 축소시키고 언론사들이 포털 안에 갇히는 국내 현실을 더욱 공고히 한다는 지적이다.


현재 국내 포털 뉴스메인 등에서 인링크로 볼 수 있는 기사 내 모든 하이퍼링크는 일괄 삭제된다. 언론사 사이트 내에서는 작동되는 본문 내 참고할만한 기사들의 링크, 임베딩된 동영상, 소셜 댓글 등이 포털로 송고되는 순간 HTML태그 자체가 모두 사라져버린다. 포털을 통한 뉴스 접근 비중이 60%(로이터저널리즘 연구소, ‘디지털 뉴스 리포트 2016’)에 달하는 국내 현실을 감안하면 뉴스 이용자들 상당수는 확장성 없는 단일 기사로만 사건사고를 접하는 게 일상인 셈이다.


국내 업계에서 링크를 적극 활용하는 분위기가 자리 잡지 못한 것도 사실이지만 이는 뉴스 소비의 중심 플랫폼인 포털이 언론사에 외부 링크를 허용하지 않는 영향이 크다. 언론사들 입장에서는 독자들에게 개별 사안의 사실관계나 쟁점을 상호 참고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도 가장 큰 유통 플랫폼에서 무용지물이 되는 게 현실이어서다. 온라인 매체 한 기자는 “기사 본문의 링크를 마음대로 삭제하는 건 월권 아닌가. 우려야 알겠지만 우리가 독자들에게 제공한 서비스를 포털이 왜 제한하나”라면서 “자신들 기준에 안 맞는다고 발목을 잘라버리는 ‘프루크루테스의 침대’같은 행태”라고 비판했다.


실제 국내 포털은 어뷰징 등 무분별한 트래픽 유도를 일삼는 행태, 코드 개방에 따른 보안문제 및 광고수단으로의 악용 등을 들어 외부링크에 대해 폐쇄적인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네이버 홍보팀 관계자는 “최근 엄격한 심사의 뉴스콘텐츠 제휴 등에 대한 결과가 나오고 기존 입점 매체에 대한 재평가도 강화하기로 하며 (문제적 링크가) 많이 줄긴 했다”면서도 “(링크를 통해) 출처를 밝히는 등 선의에 의한 언론사보다 여전히 어뷰징에 힘쓰는 곳이 더 많은 구조에서 (허용 시) 포털뉴스 이용자들의 피로도나 거부감에 대해서도 고민할 수밖에 없는 지점이 있다”고 밝혔다. 포털은 기사 아래 ‘관련 기사’ 5개를 언론사가 지정해 자사 사이트에 유입토록 허용하고 있지만 대다수가 ‘관련이 없는’ 선정적인 기사들을 배치하는 현실을 거론한다. 또 기사 ‘본문’과 ‘관련 기사’ 사이 공간에 편법으로 선정적인 링크를 붙이는 행태도 제기한다.


하지만 현재 업계에서 나오는 목소리는 독자·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요구로 수렴된다. 포털은 ‘링크=언론사의 트래픽 유도’로 보고 있고, 포털뉴스제휴평가위 역시 명시적인 규정은 없지만 광고홍보성 배제 규정을 통해 아웃링크를 제재대상으로만 인식하는 경향이 크다. 구글은 ‘사이트 링크 등 출처 명시’를 검색 알고리즘 상 우대하는 방침을 갖고 있다. 양대 포털에 매몰된 지극히 ‘한국적인 상황’인 만큼 단순 비교는 어렵지만 출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정보의 맥락을 전하는 ‘내용의 확장’, 즉 온라인 저널리즘의 한 측면에 국내 미디어 환경이 훨씬 더 폐쇄적이라는 것은 명확해 보인다.


오세욱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은 “디지털 공간에서 새로운 객관성은 투명성이다. 링크는 이 투명성을 드러내는 가장 손쉽고 강력한 방법인데 이걸 막고 있는 것”이라며 “포털의 사정도 알겠지만 저널리즘 발전을 위해 전향적인 검토를 하는 게 개인적인 바람”이라고 밝혔다.


최진순 한국경제 기자(건국대 언론홍보대학원 겸임교수)는 “(링크 허용은)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려는 경쟁이고, 유불리를 일방적으로 다루는 게 아니다. 포털이 강조하는 이용자 중심의 뉴스에도 상응한다. 상업적인 활용은 제휴평가위를 통한 벌점 및 재계약 시 반영 등을 통해 충분히 해결가능하리라 본다”며 “논의 자체가 봉쇄된 형국인데 효과적인 방안을 함께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최승영 기자 sychoi@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