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쏘아 올린 ‘김포 서울 편입’ 논란에 정국과 전국이 들썩이고 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지난달 30일 김포한강차량기지에서 열린 ‘수도권 신도시 교통대책 마련 간담회’에 참석해 김포 등 서울과 인접한 경기지역 도시의 서울 편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이를 ‘뉴시티 프로젝트’라 명명하고 지난 7일 특별위원회 첫 회의를 개최했다. 경기도는 물론 전국의 시·도에서 지역 균형발전에 역행한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보수지로 분류되는 중앙 언론들조차 ‘총선용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비판했지만 아랑곳하지 않는 분위기다.
이번 논란이 국민의힘 중앙당 차원에서 시작된 만큼 곧장 전국구 이슈로 달아올랐지만, 적극적인 보도로 이슈를 끌고 가는 건 경기·인천지역 신문들이다. 이들 신문은 11월 들어 거의 매일 1면과 주요 면 머리기사 등으로 해당 이슈를 다루며 무엇이 왜 문제인지를 조목조목 지적하고 있다. 애초에 김포시가 경기도의 경기북부특별자치도 포함에 반발해 서울 편입을 추진 중인 사실을 알리고 이를 의제화한 것도 경인 지역 언론이었다.
지난달 10일 경인일보가 처음 보도한 ‘김포시 서울 편입론’이 창졸간에 ‘서울 메가시티 구상’으로 확대되며 서울 인접 도시들까지 들썩이자 경인지역 신문들은 일제히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무엇보다 이번 발표가 인근 지자체와 관계기관 의견수렴 등의 사전 절차를 거치지 않고 졸속 추진되어 “분란만 일으키고 있다”(경기일보)는 지적이다. 기호일보는 지난 7일 사설에서 “국가적 담론을 과반도 안 되는 당의 대표가 툭 던지고, 호박이 굴러들어 왔다고 생각한 단체장들이 군불 때며, 눈치나 보는 행정부 책임자들이 외면하는 식으로 뒤집을 순 없는 노릇”이라면서 “총선에서 벼락을 맞아야 정신을 차릴 듯싶다”고 강하게 성토하기도 했다.
신문들은 김포 외에 서울 편입이 거론되는 광명·구리·하남 등의 지역 정치권과 주민들의 목소리도 전했다. 찬성과 반대 의견이 엇갈리고, 의아하다는 반응도 많았으나, 상당수는 “관심 없다”거나 “미지근한 반응”이었다고 한다.
시간이 지나면서는 서울 편입으로 인한 득보다 실이 많다는 분석이 주를 이뤘다. 중부일보는 지난 7일 1면 기사에서 “경기도와 김포시가 추진한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이 서울시에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김포시 고촌읍 일대에 조성 중인 김포 한강시네폴리스 일반 산단도 “죽 쒀서 남 주는 꼴”이 될 수 있단 것이다. 경기일보도 지난 9일부터 시작한 연속 기획과 사설 등을 통해 예산과 혜택은 줄고 세금은 늘어나는 문제를 짚었다.
무엇보다 서울에 편입되는 지역이 “‘혐오·기피시설 집하장’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경인일보는 “매립장을 서울에 내주는 대신 편입을 얻는 ‘빅딜설’”을 제기했고, 경기일보는 사설에서 “서울시민을 위한 기피시설들로 피해를 보는 상황에 또 쓰레기 처리 등의 시설이 들어오면 인근 주민의 주거환경 및 삶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북한과 맞닿아 있는 접경지 중 하나인 김포가 서울로 편입될 경우 방호 체계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경인일보는 지난 3일 1면 <대한민국 수도가 접경지 되는 ‘안보 구멍’>이란 제하의 기사에서 “대한민국 최대 전략적 요충지인 김포시를 수도로 편입시키자는 발상부터가 안보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반영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지난 13일엔 경기도가 리얼미터에 의뢰해 서울 편입 관련 도민 여론조사를 벌인 결과가 일제히 보도됐다. 응답자의 66.3%가 반대했고, 김포시도 반대 의견이 61.9%로 우세했다. 서울 편입이 거론되는 광명·구리·하남 등과 비교해 파주·양주·화성 등에서 반대 비율이 높았는데, 중부일보는 이날 사설을 통해 “(이 같은) 의견차이를 두고 좋고 나쁨을 떠나 그렇게 선택할 수밖에 없는 지금의 현실”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한 뒤 “정부가 장기적 비전과 계획을 먼저 제시”하고 “진정 국민의 편익이 무엇인지부터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