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 언론-시민단체 갈등 '시끌'

시의회 해외연수 기자동행 발단, 5개 지방지와 법정공방 예고

기자들의 해외 동행취재로 촉발된 전남 순천지역 지방지 주재기자들과 시민단체의 갈등이 법정공방으로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사건의 발단은 순천시의회가 지난 7월 14일, 9박 10일 일정으로 55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영국, 독일 등 유럽 5개국 해외 연수에 취재기자를 포함시키면서 시작됐다. 이 과정에서 ‘순천 그린21’ 등 지역의 5개 시민단체는 주재기자 2명의 무료동행에 반대했고 이어 8월초 MBC 미디어비평은 순천시의회와 주재기자들의 행태를 고발하는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이후 순천주재 일부 지방기자들은 시민단체의 비리의혹을 제기하는 기사로 역공을 가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9개 신문사들은 똑같은 기사내용을 각기 다른 신문에 싣기도 하고 8월 14일부터 22일까지 총 22회의 기사를 보도함으로 이른바 ‘괘씸죄’를 적용, 감정적인 보도를 한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았다.

이후 시민단체들은 지방지들이 제기한 비리의혹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며 해명을 했고 경찰은 시민단체에 대해 수사를 벌여 지난 5일 혐의점을 찾지 못한 채 이 사건을 무혐의로 결론 내렸다.

이후 언론중재위의 중재로 △광주매일은 정정보도 △광주타임스와 대한일보는 반론보도문 게재로 합의하고 △전남일보는 반론보도문 게재여부를 놓고 협의를 벌이는 등 4개 신문과는 합의 했지만 무등일보, 전남매일, 호남신문, 전광일보, 호남매일 등 5개 신문과는 아직 합의를 못한 채 법정공방을 준비 중이다.

이와 관련 김준영 순천경실련 사무국장은 “이번 사건으로 대다수의 정의로운 기자들이 함께 매도된데 대해서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며 “노 정부는 지방언론 육성에 있어 선별적 지원을 통해 건전한 언론을 육성하고 그렇지 못한 언론은 과감하게 퇴출시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기태 광주·전남기자협회장은 “언론뿐 아니라 시민단체도 감시기능이 있으나 무조건적으로 언론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보이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특히 주재기자들에 대한 일방적인 폄하나 그들만을 문제 삼는 것은 반성의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언론중재위의 합의에 이르지 못한 무등일보를 비롯한 5개 신문사는 법정에서 자신들이 제기한 시민단체 비리의혹의 진위여부를 밝히겠다는 입장이다.

박경철 기자 pk@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