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부음] [인사] 채널A
◇ 경영전략실▲ 정책기획팀장 신수영 ▲ 디지털이노베이션팀장 조건희 ◇ 편성전략본부▲ 편성기획팀장 김홍석 ◇ 보도본부▲ 사회부장 우정렬 ▲ 정책사회부장 노은지 ▲ 경제산업부장 손영일 ▲ 문화스포츠부장 김성진 ◇ 전략기획본부▲ M사업기획팀 F파트장 이민종 ▲ E〃 S파트장 김종석 ▲ G사업전략팀 L파트장 신화섭 ▲ 〃 P파트장 이도영 ◇ 콘텐츠사업본부▲ 채널마케팅팀장 임경선 ◇ 경영지원본부▲ 협력지원팀장 이주현 ▲ DDMC관리팀 시설관리파트장 손중열 ▲ 〃 자산관리파트장 최윤석
[인사·부음] [인사] 한국경제신문
▲ 업무지원국 총무부장 류원석
[인사·부음] [인사] 한겨레신문사
▲ 제작국장 이준규 ▲ 제작부장 김철훈 ▲ 기술팀장 이광형 ▲ 윤전1팀장 이용화 ▲ 윤전2팀장 이종길 ▲ 윤전3팀장 이혁주 ▲ 전기팀장 윤명수
[인사·부음] [인사] 국민일보
▲ 수석논설위원 고승욱
[인사·부음] [인사] 브릿지경제신문
◇ 보직▲ 금융증권부장 정경진 ▲건설부동산부장 채훈식 ◇ 국장대우 승진▲ 생활경제부 이형구 ▲ 대외협력국 이남우
[미디어] "플랫폼 '뉴스 이용료' 법제도 도입 모색해야"
인터넷 포털에서 기사를 무료로 보는 시대에 언론사는 누구에게 돈을 받아야 할까. 뉴스로 사람을 끌어모아 돈을 버는 플랫폼 기업이다. 하지만 합당한 대가를 받아내는 일을 개별 언론사나 플랫폼의 선의에 맡겨서는 안 된다. 얼마를, 왜 내고 받아야 하는지는 법과 정부가 개입할 사회적 사안이라는 것이다. 한국언론법학회 주최로 지난달 28일 열린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뉴스콘텐츠 저작권 학술대회에서 저작권에 기초한 뉴스이용료 도입 필요성이 논의됐다. 발제에 나선 진민정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은 구글과 2년 동안 다툼을 벌인 끝에 뉴스이용료
[미디어] 김만배와 돈거래한 전직 기자 숨진 채 발견
화천대유 대주주 김만배씨와 돈거래를 한 전직 한국일보 기자가 숨진 채 발견됐다. 단양경찰서는 29일 저녁 충청북도 단양군 한 야산에서 김 모 전 한국일보 기자를 숨진 상태로 발견했다. 김 전 기자는 28일 경기도에 있는 자택을 나섰다. 이후 연락이 끊긴 채 귀가하지 않자 다음 날 가족이 실종신고를 했다. 경찰은 휴대전화 위치 추적을 통해 김 전 기자를 찾았다. 타살 혐의점은 발견하지 못했다. 유족 뜻에 따라 사망 원인을 조사하기 위한 부검은 하지 않기로 하고 수사는 종결했다. 현장과 자택 등에서 유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김 전 기자
[미디어] '단톡방 성희롱' 서울신문 기자 해임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단톡방)에서 동료 기자 등을 성적으로 조롱한 서울신문 기자가 28일 해임됐다.서울신문은 이날 오후 2시 해당 기자를 불러 1차 진술을 받고 오후 5시 징계위원회를 열어 사규상 최고 수위인 해임을 의결했다. 해임 사유는 품위 유지 의무 위반 등이다.서울신문 관계자는 (오늘이 휴무라) 원래 다음 주 초 징계위를 열려고 했으나, 1차 진술에서 해당 기자가 보도에 거론된 모든 팩트가 사실이라고 인정한 만큼 바로 징계위를 열어 다시 소명을 받고 해임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사실로 확인된 이상 이 건과 관련된
[기획·특집] "수형번호 179… 나는 '3사하 7방' 독방에 수감됐다"
1974년 10월24일 발표한 자유언론실천선언이 올해로 50주년을 맞았습니다. 우리는 자유언론에 역행하는 어떠한 압력에도 굴하지 않는다는 선언문에 따라 기자들은 자유언론 실천운동을 펼쳤고 그 과정에서 이듬해 3월 동아일보에서 130여명, 조선일보에서 33명의 언론인이 펜을 빼앗기고 거리로 쫓겨났습니다. 해직 후 50년 세월이 흘렀지만, 기자들은 아직도 언론사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습니다. 기자협회보는 1024자유언론실천선언 50주년을 맞아 자유언론을 위해 분투하다 해직된 기자들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연재합니다. 편집자 주 1975
[미디어] 언론노조 MBC본부 "김홍일, 양식도 없는 '떴다방 공직자'"
방송통신위원회가 28일 KBS와 MBC, EBS 이사진 선임계획을 기습 의결한 가운데 전국언론노조 MBC본부가 지금이라도 즉각 이사진 선임 절차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언론노조 MBC본부는 이날 MBC 장악의 욕망을 버려라. 그것이 정권이 사는 길이다 제하의 성명을 내고 윤석열 정권이 다시 MBC 장악 절차를 개시했다고 비판했다. MBC본부는 정권의 하수인, 김홍일 방통위원장과 이상인 부위원장이 오늘 오전 단둘이서 방통위 전체 회의를 열고 MBC와 KBS, EBS 이사진 선임계획을 기습 의결했다며 MBC가 제기한 이상인 부위원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