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 총선보도, 판세 분석에 쏠렸다

판세·격전지 분석 치중…정책보도는 후반부에

방송의 총선 보도는 여전히 정책보다는 판세·경합지역 보도에 치우친 것으로 나타났다.

18대 국회의원 선거운동이 시작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4일까지 KBS, MBC, SBS 지상파 3사의 저녁종합뉴스 총선 보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SBS는 전체 보도 54건 가운데 판세·경합지역 관련이 18건으로 33.3%를 차지했다. MBC는 전체 64건 가운데 20건으로 31.2%였다. KBS는 58건 가운데 11건으로 18.9%를 기록했다.

각 정당과 후보의 선거운동을 전달하는 단순 보도는 KBS 31.0%, MBC 26.5%, SBS 22.2%로 뒤를 이었다.

이에 비해 정책 보도는 KBS 17.2%, SBS 14.8%, MBC 10.9%에 그쳤다.

정책보도는 내용에서도 아쉬운 점이 많았다는 지적을 받는다. 보도 순서에서도 주로 뉴스 후반부에 배치됐다.

민언련 김언경 사무처장은 “방송사들이 노력한 흔적은 엿보이나 광범위한 주제를 수박 겉핥기식으로 전달하다 보니 유권자들의 선택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했다”며 “정책보도에 시간 배정을 늘리는 등 과감한 편성이 아쉽다”고 말했다.

이는 각 정당 후보 공천이 늦었고 정책 제시가 미진했기 때문이라는 반론도 나온다. 한 지상파 방송사 보도국의 한 관계자는 “한 정당의 경우 특정 당과 정책이 똑같다고 대놓고 말할 정도로 정당 사이 정책 차별성이 부족했다”며 “그나마 내놓은 정책도 깊이가 떨어져 정책 중심 보도에 애로가 컸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시청자들이 격전지 판세 예상 등 누가 되느냐에 관심이 많은 것도 사실이어서 이것을 무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책 선거를 외면하는 정당과 후보의 행태에 대한 비판 보도도 많지 않았다. KBS가 27일 보도에서 “후보 등록 직전에서야 결정된 후보, 전략 공천이라는 이름으로 선거 직전 등장한 후보를 보는 유권자들에게 정책 선거는 한참 먼 얘기”라고 지적했으나 집중적인 비판은 드물었다.

△ 신문도 정책 검증 노력 부족

신문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경향 동아 조선 중앙 한겨레 등 5개 종합일간지 가운데 정책 검증 시리즈를 낸 곳은 경향신문과 한겨레뿐이다.

경향은 참여연대와 함께 등록금·사교육비, 보건의료, 부동산, 비정규직, 중소상인 등 ‘5대 민생공약’을 짚어보는 시리즈를 내보냈다.

한겨레는 기획 ‘4.9총선 이것만은 따져보자’에서 대운하, 경제위기, 영어 몰입교육, 등록금, 사교육비 축소, 물가 잡기 등을 주제로 각 당의 정책을 따졌다.

한국외국어대 이정희 교수(정치외교학)는 “언론이 정책선거가 이뤄지지 않는 상황을 현실이라고 받아들이기 보다는 정책을 외면하는 정치권을 질타하면서 올바른 선거 토양을 만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기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