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김현석, 고대영 기자를 말한다
[우리의 주장]편집위원회
편집위원회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11.01.11 09:30:00
김현석과 고대영. 여기 두 명의 ‘기자’가 있다. 나이 차이도 있지만 걸어온 길은 확연히 다르다. KBS가 두 사람의 인사를 두고 연초부터 논란에 휩싸였다.
우선 김현석 기자를 보자. 김 기자는 2008년 한국기자협회 KBS지회장 겸 KBS 기자협회 회장을 맡았다. 2008년은 이명박 대통령이 임기를 시작한 해다. MB정권 창조에 이바지한 인물들이 언론사마다 사장으로 줄줄이 낙하산 투하됐다.
KBS도 예외가 아니었다. 감사원과 검찰, 경찰 등 권력기관을 총동원해 정연주 전 사장을 쫓아냈다. 정 사장의 해임이 부당하다는 법원의 선고만 보더라도 이명박 정권이 얼마나 무리수를 둬가면서 사장을 바꾸려고 했는지 드러난다. 양심과 상식을 가진 KBS 구성원들은 팔짱끼고 보고만 있을 수 없었다. ‘공영방송 사수를 위한 KBS 사원행동’을 결성했고, 김 기자는 맨 앞에서 서서 ‘사원행동’의 대변인을 맡았다.
2008년 8월8일, 교묘하게도 베이징올림픽 개막에 맞춰 정 사장 해임안을 통과시킨 이사회가 열리던 날, 김 기자를 비롯한 KBS의 ‘양심’들은 땀과 눈물로 뒤범벅이 된 채 이사회를 저지하기 위해 안간힘을 썼다. 그러나 공권력을 동원한 거대한 권력의 힘 앞에선 어쩔 도리가 없었다. 이듬해 1월, KBS는 ‘사원행동’ 결성에 앞장선 김 기자 등 3명에 대해 근무기강 문란 등을 이유로 파면이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징계는 재심 끝에 정직 4개월로 낮춰졌지만 김 기자는 낯선 춘천으로 발령이 났다.
KBS 기자협회는 즉각 보복 인사라며 항의했고, 제작거부를 결의했다. 이정봉 당시 보도본부장은 “6개월 내에 재발령내겠다”고 약속했지만 그 뒤에도 복귀는 이뤄지지 않았다. KBS 기자협회는 지난해 10월 “연내 복귀가 되지 않으면 제작거부에 돌입하겠다”는 성명을 냈다. KBS 기자들은 지난 5일 기자 총회를 열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한 뒤 제작거부 등 단체행동의 시기와 방법을 비대위에 일임하기로 했다. “더는 성명서를 쓰는 것으로 끝내지 않겠다”는 유원중 KBS기자협회장의 말에서 결연함이 느껴진다.
KBS 기자들이 총회에서 언급한 또 한 명의 ‘기자’가 있다. 1월3일자로 보도본부장에 임명된 고대영씨다. KBS 기자들은 고 본부장에게 공정방송 약속, 인사의혹 해명을 요구하고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신임 여부를 묻는 투표를 실시하겠다고 했다.
KBS 기자들이 총회를 연 것은 1년6개월 만이다. 그때도 고 본부장 때문에 열렸다. 당시 보도국장이었던 그는 정권에 유리한 보도는 부풀리고 불리한 보도는 축소해 비난을 샀다. 용산참사 축소 및 편파보도와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 검증 보도 불방이 대표적이다. 또 2008년 보도총괄팀장을 맡았을 때는 ‘미디어포커스’ 폐지를 반대하는 기자들에게 인사보복성 협박 발언을 하고, 술자리에서 후배의 멱살을 잡는 등 폭력까지 행사해 물의를 빚었다. 그 결과 KBS 기자협회의 신임 여부를 묻는 투표에서 93.5%의 압도적인 ‘불신임’을 받았다.
우리는 이 같은 두 기자의 행보를 통해 KBS 인사의 부당함을 천명하는 바이다. KBS는 약속대로 김현석 기자를 원직 복귀시켜야 한다. 또 이미 정치적 편향성이 드러난 고 본부장 등에 대한 인사를 철회하라. 그것만이 KBS가 공영방송이라고 말할 수 있는 최소한의 성의를 보이는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