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의 날' 신문의 위기를 돌아보자
[우리의 주장] 편집위원회
편집위원회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11.04.05 09:47:28
요즘 지하철을 타면 불과 1년 전과 비교해 눈에 띄게 달라진 풍경이 보인다. 신문을 읽고 있는 사람들은 거의 없고, 대부분 스마트폰으로 원하는 뉴스를 클릭하거나 게임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신문사들이 경쟁적으로 서비스하는 ‘공짜앱’이다. 간혹 신문을 펼쳐든 경우는 십중팔구 무가지다.
인터넷혁명에 이어 스마트폰 광풍이 몰아치며 신문산업과 신문기자의 ‘멸종’이 다가오는 느낌이다. 1백년의 역사를 넘은 크리스찬사이언스모니터는 이미 지난해 종이신문 인쇄를 중단했고, 뉴욕타임스도 ‘절판(絶版)’을 준비하고 있다.
신문의 위기는 국내 채용시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가을부터 최근까지 실시된 신문사별 대졸 수습기자 공채를 보면 격세지감이다. 대다수 신문사들의 공채경쟁률이 10년 전과 비교해 큰 폭으로 떨어졌다. 만약 신문기자가 ‘기피직업군’으로 분류되기 시작하지나 않을까 우려스럽다.
신문사들의 살아남기 노력과 정부의 언론진흥정책은 본질에서 벗어난 느낌이다. 주류 신문사들은 방송으로 갈아타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최근 조선 중앙이 종편사업을 승인받은 것을 시작으로 4개 사업자는 올해 가을부터 방송사업을 시작할 전망이다. 발행부수가 가장 많은 신문들이 방송진출에서 돌파구를 찾는 모습에서 신문의 위기가 더 아프게 다가온다.
하지만 이들이 방송을 통해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보는 사람들은 극소수다. 오히려 대규모 투자부담으로 위험만 키웠다는 비관론이 더 많다. 정부가 4개 종편을 한꺼번에 승인해 방송분야도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는 분석이다.
현 정부가 신문에 미래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 아니라면 종편이 아니라 보다 근본적인 진흥정책이 마련돼야 한다. 지금 신문산업에 가장 절실한 것은 콘텐츠 가치가 정상적으로 인정받는 환경이다.
뉴스가 공짜라는 인식이 바뀌지 않는 한 전달매체가 어떻게 진화하건 신문은 위기에서 벗어날 수 없다. 신문사의 방송겸영 허용도 따지고 보면 광고수입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현재의 왜곡된 구조를 그대로 내버려둔 채 오히려 상업성만 더 부추긴 것이라 볼 수 있다.
지난해 인터넷 포털 네이버가 거둔 영업이익은 6천억원에 달한다. 국내 모든 신문사의 이익을 합친 것보다 훨씬 많은 수치다. 네이버가 뉴스검색뿐 아니라 지식검색 블로그 등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간판’은 뉴스캐스트다.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신문이 아니라 그것을 중계해주는 포털이 큰 이익을 얻는 구조는 어떻게 설명해도 비정상적이다.
2000년대 들어 불법 내려받기로 생사의 기로에까지 몰렸던 가요, 영화 등 대중문화 산업은 저작권 보호 등 정부의 지속적인 콘텐츠산업 진흥정책에 따라 상황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 신문기사에 대해서도 그런 접근이 필요하다. 현상을 분석하고 여론을 형성하며 역사를 기록하는 신문기사는 보호받기에 충분한 공익적 가치를 지닌다.
7일은 제55회 신문의 날이다. 공짜뉴스에 익숙해진 우리 사회가 하루쯤 “내일부터 신문을 볼 수 없다면” 하고 생각을 해보는 것도 좋을 듯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