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방송 시대' 열리다
[언론다시보기]공훈의 위키트리 대표
공훈의 위키트리 대표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12.02.08 16:09:03
|
|
|
|
|
▲ 공훈의 위키트리 대표 |
|
|
누구나 방송을 한다? 꿈도 못 꿀 일이다. 방송설비는 둘째 치고 웬만하면 방송카메라 한 대도 감당하기 어렵다. 무엇보다 주파수가 없으면 방송은 불가능하다. 설령 돈을 쏟아붓는다 해도 방송을 내보낼 전파가 없으면 무용지물. 그러니까 방송은 매스미디어 가운데 가장 진입장벽이 높은 영역이었다.
사정이 달라졌다. 이제 누구나 방송을 할 수 있다. 방송설비는 인터넷 서비스로 구현됐다. 호주머니 속 스마트폰이 방송카메라를 대신한다. 주파수는 아예 필요없다. 굳이 LTE까지 가지 않더라도 고속인터넷회선이면 충분하다.
아무리 그렇더라도 TV 스크린 속 고화질 방송이 가능할까? 기술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한 두 사람의 힘으로 그처럼 본격적인 방송을 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방송을 보는 시청자들의 모습이 달라졌다. 그들은 TV 스크린을 떠나 모바일 기기의 화면으로 옮겨가고 있다. 모바일 속의 동영상에서 그들은 고품질 화면보다 리얼리티를 기대한다. 리얼리티가 더 진실에 가깝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SNS를 기반으로 하는 상호연결망은 불에 기름을 부었다. 단방향으로 흐르는 방송 주파수와 달리 수많은 시청자들이 서로 대화를 나누며 확산에 확산을 거듭하는 놀라운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특정 방송 콘텐츠가 재미가 있는지, 없는지는 다수의 시청자가 스스로 결정한다. 방송국 편성국의 몫이 아니다. 다수의 공감에 의해서다.
‘소셜 방송’이 시작됐다. 누구나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싶으면 언제라도 손쉽게 동영상을 만들어 SNS 플랫폼에 게재하는 방식이다. 사용자 제작 동영상, 이른바 UCC를 만들어 단순히 유튜브에 거는 데 그치지 않는다. 유튜브뿐 아니라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다른 SNS 플랫폼을 복합적으로 가동시키면서 확산을 극대화하고 시청자와의 대화를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방송이다.
지난달 12일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의 신년 대담은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라이브스트림, 위키트리 등 모두 5개의 SNS 플랫폼을 복합적으로 가동하는 SNS 기반 ‘소셜 방송’으로 중계됨으로써 SNS 상에서 확산을 극대화했다. 대담 진행 중 관련 트윗이 거의 600만회 노출됐고, ‘김성환’이란 이름이 모든 트윗을 통틀어 트위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 10위에 랭크되기도 했다.
같은 달 25일 저녁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국정연설도 이와 비슷한 형태로 진행됐다. 다양한 SNS 플랫폼을 복합적으로 운영해 확산을 극대화시키고 일반 국민과 정치지도자 사이의 벽을 허물었다. 이는 역사상 가장 인터랙티브한 국정연설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 같은 흐름은 지난 6일 학교폭력 대책에 관해 이주호 교육과학부 장관이 국민과의 대화에 직접 나선 소셜 방송으로 이어졌다.
소셜 방송의 다른 특징은 이렇다. 방송을 하는 입장에서는 필요할 때, 하고 싶을 때 방송을 하는 것이고, 방송을 보는 입장에서는 보고 싶으면 아무 때나 아무데서나 방송을 끄집어내서 보는 것이다. 시청자들이 보고 있는지 아닌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24시간 내내 방송 프로그램을 송출해야 하는 기존 방송과는 다르다. 방송을 보려면 시간에 맞춰 채널을 찾아 TV 앞에 꼼짝없이 앉아야 하는 기존 방송과도 다르다.
소셜 방송은 가볍디 가볍다. 만들기도 쉽고 제작비가 별로 들지 않는다. 송출은 공짜다.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등 SNS 플랫폼을 사용하는 데 돈을 낼 필요가 없다. 보는 이도 편하다. 아무 데서나 SNS를 살펴보다가 그 속에 찾아오는 동영상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굳이 방송이라고 인식할 필요도 없다. 물론 굳이 방송이라고 구분돼 있지도 않다. 그저 동영상으로 이야기를 나누는 것 뿐이다.
이렇게 가벼운 방송은 경험한 적이 없다. 그래서 기존 방송에서는 이 같은 형식의 동영상을 UCC라고 치부할지 모른다. 그러나 그 전파력과 영향력은 적지 않은 경우 기존 방송의 위력을 뛰어넘는다. 굳이 방송이라고 정의할 필요도 없지만 거꾸로 이처럼 SNS와 결합된 동영상의 세계를 ‘소셜 방송’이라는 개념으로 묶어 보면 상황이 영 달라진다. 바야흐로 소셜 방송이 그 실체를 드러내고 있다. 머잖아 그 여파는 방송광고시장에 대한 직격탄으로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