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과 '경악'은 이제 그만

[언론다시보기] 이지선 ㈜미디어유 대표


   
 
  ▲ 이지선 ㈜미디어유 대표  
 
얼마전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충격과 경악을 안겨준 사이트가 있었다. 이름하여 ‘충격 고로케 (http://hot.coroke.net/)’ 사이트가 바로 그것.

한 젊은 개발자가 선보인 ‘충격 고로케’는 인터넷 뉴스 제목에 만연한 낚시성 표현들을 한 곳에 모아 보여준다. ‘충격’, ‘경악’, ‘결국’, ‘알고보니’, ‘헉!’ 등의 표현을 담은 제목을 각 언론사 별로 몇 번이나 썼는지 알 수 있다. 얼마 전에는 ‘충격상’, ‘알고보니상’ 등의 시상도 했다. 충격상은 기사제목에 ‘충격 경악 결국 멘붕’ 문구를 가장 열심히 추가한 언론사에게 ‘충격받은 독자 일동’이 수여하는 상이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며 ‘민족 정론지’를 주장하는 유력 언론사들도 충격 고로케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워낙 인터넷 미디어의 제목 낚시가 독자들을 지치게 만든 지 오래다 보니 개인에 의해 언론의 실상을 파헤치는 이런 사이트까지 등장했다. 인터넷 포털 다음에서는 ‘충격 고로케’에 실린 낚시성 제목의 기사들은 편집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쯤 되면 언론사의 인터넷 뉴스팀들이 집단으로 망신을 당한 셈인데, 문제는 과연 ‘충격 고로케’로 인터넷 뉴스의 관행이 크게 달라질 것인지, 그 전망은 회의적이라는 점이다.

흔히 인터넷 뉴스의 낚시 제목의 원인을 네이버 뉴스캐스트에서 찾기도 한다. 언론사 사이트를 직접 찾는 방문자수 보다 네이버 등의 포털 서비스를 통해 유입되는 방문자수가 많다보니, 그리고 네이버 첫 페이지에서 수많은 언론사의 수많은 기사들이 독자층의 관심을 끌기 위해 경쟁하다 보니 제목에서 ‘충격’과 ‘경악’과 같은 수위 높은 단어들을 습관적으로 쓰게 되었다는 변명이다.

사실 언론사의 인터넷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뉴스 유통을 장악하고 있는 포털과의 역학관계는 거의 전부를 차지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중요한 문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포털 메인 페이지든, 뉴스 섹션이든 검색을 통해서든 포털을 거쳐서 뉴스를 본다. 그러다 보니 각 언론사에서는 포털을 통한 유입자수 증대에 사활을 건다. 여기에 각종 꼼수(일부 언론사에서 쓰는 실시간 검색어에 맞춘 기사 급조 및 재전송)와 낚시 제목과 같은 다양한 편법이 등장한다. 그 결과 순간적인 방문자 증대로 광고 수입은 조금 더 올렸을지 모르지만 냉정한 독자들의 마음은 점점 더 멀어지고 있다.

최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표한 ‘2012 언론수용자의식조사’에 보면 인터넷 뉴스 이용자들은 인터넷에서 읽은 뉴스가 어떤 언론사인지 모르는(‘거의 모른다’ 54.2%)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는 소비성 상품인 것 같지만 뉴스라는 상품을 얻기 위해 언론사를 선택하는 기준은 언제나 ‘신뢰도’나 ‘공정성’과 같은 요소들이다.(언론재단 언론수용자의식조사 보고서 중) 신뢰도나 공정성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누구나 알 것이다. 또한 낚시 제목과 같은 단편적인 무리수가 신뢰도와 공정성을 쌓는데 해가 될지언정 결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사실도 알 것이다.

자, 그러면 ‘충격’과 ‘경악’에 빠져 있는 인터넷 뉴스가 다시 신뢰를 회복할 방법은 무엇일까? 모바일 환경에서 다시 한번 그 기회를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지난해 12월 19일, 대통령 선거가 있던 날 국내 최대 포털인 네이버뉴스의 일일 페이지뷰(PV)를 보면 PC가 6300만, 모바일이 2억 PV에 가까운 수치를 기록했다고 한다. 같은 날 다음의 수치도 모바일이 PC 접속을 훨씬 뛰어 넘었던 것으로 발표됐다. 포털을 통한 뉴스 소비도 모바일 중심으로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으며 여기에 페이스북, 트위터와 같은 SNS를 통한 친구 네트워크 중심의 뉴스 소비도 늘고 있다.

모바일 시대가 눈앞에 펼쳐지고 있는 이 시점에 언론사들의 모바일 전략은 무엇인지 궁금하다. 인터넷이든 모바일이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은 마치 언어를 익히는 것과 같다. 단어와 발음을 익히는 것만으로 언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는 없다. 단순히 방문자 증대라는 목전의 이익만을 생각하면 ‘충격’과 ‘경악’에서 벗어나기 어렵다. 모바일 시대에서는 인터넷에서처럼 속어에 빠지지 말고, 신뢰할 수 있고 공정한 고급 언어로 뉴스를 전달했으면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좀 더 깊은 고민이 필요할 때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