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개 단체 참여 뉴스제휴평가위 10월 출범

평가위원 비공개

언론사의 포털 진입 및 퇴출을 결정하게 될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설립을 위한 준비위원회(이하 준비위)는 24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설립규정 설명회’를 열고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규정 합의안을 발표했다. 준비위는 지난 7월 네이버와 카카오가 사이비언론 행위, 어뷰징 등 국내 인터넷 저널리즘의 폐해를 막겠다는 취지로 도입한 공개형 뉴스제휴평가위원회 구성을 위한 예비모임이다.


이날 발표된 합의안에 따르면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는 포털과의 뉴스 제휴 심사를 결정하는 평가위원회(상설기구)와 정책과 제도를 전담하는 운영위원회(비상설기구)로 구성된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사무국 역할을 맡기로 했다.


평가위는 한국방송협회, 한국신문협회,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학회,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한국인터넷신문협회,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대한변호사협회, 한국기자협회, 언론인권센터, 인터넷신문위원회, 한국소비자연맹, 한국신문윤리위원회, 한국YWCA연합회 등 15개 단체가 추천하는 인사들로 꾸려진다.


뉴스 생산자 단체(6개), 학계 및 전문가 단체(5개), 언론·시민소비자단체(4개) 등 크게 3그룹의 인사들이 참여하는 셈이다.


평가위는 15개 단체가 추천하는 인사로 구성되며, 각 기관별로 2명씩, 최대 30명의 위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평가위의 통상적 회의 및 평가 업무는 15명(간 단체별로 1명씩)이 참여하는 식으로 운영된다. 위원 임기는 1년으로 연임이 가능하다. 다만 평가 공정성을 위해 평가위원의 신원은 공개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네이버와 카카오는 합의안을 토대로 포털 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10월 중 출범하고, 세부 평가 기준을 마련한 뒤 연말부터는 평가 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