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 포털의 뉴스 제휴 심사를 담당하는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뉴스제휴평가위)’가 제휴 기준 점수를 하향 조정하기로 결정하고 조만간 세부안을 발표하기로 했다.
본보가 취재한 결과에 따르면 뉴스제휴평가위는 지난 7일 뉴스 제휴 및 제재 심사 관련 정례회의를 열고 제휴 문턱이 높다는 외부 지적에 따라 이 같이 결정했다. 이에 따라 뉴스콘텐츠제휴 기준 점수는 90점에서 80점, 뉴스스탠드제휴 기준 점수는 80점에서 70점, 뉴스검색제휴 기준 점수는 70점에서 60점으로 각각 10점씩 하향 조정된다.
그동안 높은 기준 탓에 뉴스제휴평가위의 심사가 신생사에는 ‘진입장벽’이 되는 반면 입점사에는 ‘기득권’을 유지시키는 수단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적잖았다. 실제로 가장 낮은 수준의 계약인 검색제휴 통과율(최초 신청 기준 비율)의 경우 1차 심사 11.63%, 2차 심사 6.71%, 3차 심사 12.16%로 나타났다. 신규 신청 사업자 10곳 중 한 곳만이 통과한 셈이다.
더구나 포털로부터 콘텐츠 제공료를 받는 뉴스콘텐츠제휴의 경우 지난해 10월 프레시안 한 곳만 카카오와 성사됐는데, 이 역시 2009년 8월 계약 해지됐던 게 사실상 재개된 것이다. 이 때문에 사실상 신규 제휴로 보기 어렵다는 게 당시 언론계 반응이었다.
문제는 기준 점수가 하향 조정되면서 온라인 뉴스시장에도 적잖은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제휴 문호가 기존보다 넓어지면서 새롭게 제휴를 맺으려는 매체사엔 기회가 될 수 있지만, 기존 입점사엔 퇴출 가능성이 그만큼 높아지기 때문이다.
한 언론사 관계자는 “네이버와 카카오 입장에서도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는 이유가 사실상 제휴 매체사가 많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뉴스제휴평가위를 만들었는데 이에 반하는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라며 “양 포털이 뉴스제휴평가위에 권한을 위임했기 때문에 이번 결정을 번복할 수는 없고, 제재 기능을 강화하는 쪽으로 세부안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 때문에 심사 기준을 엄격히 적용하거나 강화하는 쪽으로 세부안이 마련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언론계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이럴 경우 심사기준이 느슨하다고 지적받아 온 ‘보도자료 기사’ 등에 대한 심사가 엄격해질 수밖에 없다.
또 다른 언론사 관계자는 “뉴스제휴평가위의 본래 취지는 신규 입점을 유연하게 하고 퇴출을 엄격하게 적용해 온라인 생태계를 정화하는 것”이라며 “제휴 기준 점수를 하향 조정한 것은 퇴출 심사를 강화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창남 기자 kimcn@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