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토요일자 폐지 4개월, 일단 근로시간 줄긴 했는데…

"금요일에 중요한 이슈 몰려, 기록 않고 몰래 취재하기도… 업무강도 그대론데 수당만 줄어"

서울신문은 지난 7월 종합일간지 가운데 처음으로 토요일자를 폐지했다. 주 52시간 상한 근로제 본격 도입을 앞두고 근로시간 단축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었다.


업계의 이목을 끌었던 토요일자 폐지 이후 서울신문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주 5일 근무제 정착이다. 그간 번갈아 가며 주당 5일, 6일씩 일했던 취재부서 기자들은 7월부턴 매주 5일 근무를 하고 있다. 2주 단위의 탄력근무제 시행으로 때에 따라 한 주는 4일, 그 다음주는 6일간 일하는 기자들도 있다. 종이신문을 제작하지 않는 금요일은 당직제로 운영된다. 취재부서마다 최소인력(1~3명)이 출근해 속보, 온라인 기사를 쓰거나 다음주 기사를 준비한다.


서울신문은 토요일자 폐지와 함께 주 52시간제가 시행된 지난 7월부터 기자들이 매일 자신의 출퇴근 시간을 내부망에 기록하는 시스템을 구축했다. 지난달 노사가 이를 분석한 결과 상시적으로 52시간을 초과해 근무하는 인력은 편집국장을 포함해 5명가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토요일자 폐지 목적대로 전체적인 근로시간은 줄었지만, 편집국 안을 들여다보면 일부 불만도 나온다. 기자들은 부서, 부서장의 판단에 따라 토요일자 폐지에 대한 만족감이 엇갈린다고 입을 모았다. 또 중요한 선고나 정부 발표가 많은 금요일을 최소인력만으로 운영하면서 기사를 제대로 소화할 수 있느냐는 문제 제기도 계속되고 있다.


서울신문 A 기자는 “토요일자 폐지 후엔 휴일(금요일) 업무가 당직자 중심으로 돌아가다 보니 출입기자 입장에선 심리적인 압박이 줄어든 건 장점”이라면서도 “아직도 금요일과 일요일 업무 사이에 혼란이 있다. 중요한 발표가 있는 금요일에 쉬더라도 월요일자로 기획이나 분석 기사를 써야 하기 때문에 휴일에도 일손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현장에선 토요일자를 폐지했더라도 업무강도는 낮아지지 않았고 수당만 줄었다는 하소연도 있다. 서울신문 B 기자는 “금요일에 중요한 사건사고나 간담회, 취재원과의 식사 자리가 잦기 때문에 출퇴근 기록을 하지 않고 몰래 취재할 때가 많다”며 “여전히 일은 일대로 많은데 수당을 받기도 어렵다. 새로운 업무패턴이 자리 잡으려면 조금 더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내다봤다.


서울신문 노조 관계자는 “토요일자 폐지에 대한 내부 불만도 있었지만 지금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업무시간을 조정하는 중”이라며 “노조 공정보도위원회에선 금요일을 온라인 퍼스트 정착을 위한 실험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달아 기자 bliss@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