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지상파도 '60초 후에 공개'… 기다림의 수혜자는 누구일까

지상파 중간광고 이달 내 입법절차
최근 여론조사선 61%가 반대
지상파 "비대칭규제 완화 조치"... 신문사 "시청자 의사·권리 무시"


언론계가 지상파의 중간광고 허용을 앞두고 엇갈린 반응을 내놓고 있다. 신문사들은 연일 “시청권 침해”라며 비판 기사를 내놓고 있고, 지상파들은 “비대칭규제를 완화하는 당연한 조치”라는 입장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9일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가상 간접광고 시간 확대, 협찬 관련 규정 신설 등이 담긴 방송제도 개선안을 발표했다. 이르면 이달 중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해 입법 절차에 들어갈 계획이다. 방통위는 “종편과 케이블TV 등 유료 방송에서 이미 시행하고 있는 중간광고를 지상파 방송에도 허용하되 시청자 불편을 줄이기 위해 안내 자막 등을 넣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방통위가 이들에 중간광고를 터준 데는 공영성을 표방하고 있는 지상파의 경영 사정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는 것을 방증한다. 지상파는 그간 종합편성채널과의 비대칭규제 등으로 광고매출이 급격하게 떨어졌다며 관련 시행령의 손질을 촉구해왔다. 한국방송협회에 따르면 지상파 광고매출은 지난 2005년 2조4000억원에서 지난해 1조4000억원으로 10년새 40%가 빠졌다. 특히 KBS와 MBC는 올 상반기 각각 441억원과 536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며 올해 1000억원대 적자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지상파는 이미 오래전부터 중간광고를 허용해야한다는 주장을 제기했지만, 시청권 침해 등 비판 여론의 벽을 넘지 못했다. 이에 프로그램을 1부와 2부로 나눠 광고하는 ‘유사중간광고’(PCM)를 하고 있다. 앞으로 도입을 해도 예전보다는 효과가 크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한 지상파 방송사 간부는 “매년 1600억원씩 줄고 있는 광고매출을 고려하면 중간광고를 해도 3~4년 전보다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방통위가 조사한 용역보고서에 따르면 중간광고를 허용하면 지상파는 최소 350억원에서 최대 869억원까지 광고매출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지상파들은 콘텐츠 질을 높이고 제작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속히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MBC는 지난 8일 사내게시판에 “그 효과가 크든 작든, 이는 공영방송 생존을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이라며 “비대칭규제 완화에 따른 새로운 재원은 공영방송 MBC의 신뢰를 더욱 공고히 하는 데 쓰이게 될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반면 신문업계에서는 “시청권 침해”라며 연일 반발 기사를 내놓고 있다. 한국경제는 12일 <방만 경영 지상파 방송에 중간광고 허용, 시청권 침해다> 제목의 사설을 통해 “툭하면 시청자 주권을 말하는 방통위가 정작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결정을 놓고는 시청자 의사와 권리를 무시한 것은 자기모순”이라며 “공영 방송사들이 구조조정과 경영혁신 없이 투자와 운영 비용을 시청자에게 전가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발상”이라고 꼬집었다.


같은 날 매일경제도 <시청자 목소리 외면한 지상파 중간광고 안된다> 제목의 사설에서 “이전 정부에서 간접광고를 허용하면서 가뜩이나 시청권이 침해되고 있는데 중간광고까지 도입하는 것은 시청자의 불편에는 귀를 막겠다는 것”이라며 “지상파 3사는 중간광고를 허용해달라고 손을 내밀기 전에 광고매출 악화를 가져온 시청률 하락 원인을 진단하고 고임금 구조, 유휴인력 문제 등을 개선하는 자구노력부터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앙일보는 지난 6~7일 <2조 쌓아놓고 방만경영 지상파…방통위, 중간광고 터주나> <패럴림픽 외면, 막장 드라마…시청자 위해 중간광고 달라?>등의 비판 내용을 담아 보도했고, 조선일보도 <방만경영·적자에도 자구노력 않는 지상파…방통위, 중간광고까지 내밀며 ‘구출 작전’> <방만한 지상파에 중간광고까지 허용> 등의 기사를 속속 내놓고 있다.


신문업계로서는 광고 나눠먹기 경쟁에서 밀릴 수 있어 민감할 수밖에 없는 사안이다. 지난해 한국신문협회 조사에 따르면 중간광고가 도입되면 지상파는 해마다 1114억~1177억원의 수익을 올리지만 신문광고비는 201억~216억원씩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문협회는 지난 12일 성명에서 “방통위가 가상·간접광고, 광고총량제 등에 이어 ‘지상파 특혜 일변도 정책’의 완결판을 내놨다”고 비판하며 “방통위가 지상파의 압박에 떠밀려 중간광고 도입을 허용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방송사의 철저한 자구 노력이 있고 나서 지상파 중간광고가 타 매체와 국민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해 제시하고, 이에 대한 국민적 동의와 사회적 합의를 끌어내려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여론도 호의적이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달 초 tbs 의뢰로 리얼미터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중간광고 허용을 반대하는 여론(60.9%)이 찬성(30.1%)보다 압도적으로 많았다. 광고업계의 방송 담당 관계자는 “지상파의 경영상황이 나아진다고 하더라도 굉장히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중간광고라도 터주긴 해야겠지만, 한가롭게 요구만 할 게 아니라 변화된 방송 환경에 맞춰 어떻게 수익 활로를 찾을지 구체적인 대안도 내놓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진우 기자 jw85@journalist.or.kr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