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사 임·단협 불황속 '웃고 울고'

경향·동아 인상 … 한국 대폭 삭감




   
 
   
 
KBS·서울·조선 노사 입장 ‘팽팽’

주5일도 쟁점…방송 3사·경향만 합의



언론사들의 임금협상과 단체협약이 신문시장 불황여파로 각 사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경향신문, 동아일보노사는 올 물가인상률 3% 안팎의 임금협상에 합의했지만, 한국일보는 평균임금이 17.8%나 삭감됐다.



또한 KBS 서울신문 조선일보 등의 노사는 실무교섭을 꾸준히 벌이고 있으나 임단협 세부사항에 대한 입장차이로 팽팽히 맞서 있다.



이와 함께 내년 7월1일부터 3백인이상 사업장에 의무적으로 도입되는 주5일 근무제는 단협의 최대 쟁점사항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주5일 근무제에 대해 노사간 합의를 한 언론사는 KBS MBC SBS 경향신문 4개사이다.



경향 노사는 지난달 14일 기본급 2.5% 인상과 함께 주5일 근무제를 신문사 최초로 내년 3월1일로 앞당겨 시행키로 합의했다. 동아도 같은 날 올 임금을 총액기준으로 3%인상과 의무휴가 사용촉진제 도입, 출산휴가자 임금 완전 보전 등의 단협 개정안에 잠정합의했다.



하지만 한국일보 노사는 경영악화 등에 따라 지난달 1일 임금을 평균 17.8% 삭감키로 했다. 이날 노사합의안에 따라 직원들의 연봉은 3천만원 이하는 10%, 3천~4천만원 30%, 4천만원 초과는 50%가 각각 삭감됐다.



KBS의 경우 중앙노동위원회의 중재까지 갔으나 노사 모두 중재안을 거부했다. 이에 따라 전국언론노조 KBS본부는 “사측은 임금을 볼모로 한 단협 3개항의 개악을 요구하고 있다”며 7일부터 13일까지 파업찬반 투표를 벌이기로 했다. 사측은 그동안 퇴직금 누진률 폐지, 전임자 축소, 개인연금제도 폐지 등 단체협약 3개항과 전직원 4.3% 임금삭감 등을 임단협안으로 제시해 왔다.



조선은 주5일근무제 도입 문제로 노사간 대립을 보이고 있다. 노조는 “주 5일근무제를 합의한 다른 언론사들처럼 토, 일요일은 유급휴일로 하자”는 입장인 반면, 사측은 “인건비부담 때문에 받아들이기 곤란하다”는 주장이다.

서울은 노사간에 지난 6월부터 본교섭 7차례, 실무교섭 18차례를 벌였으나 편집국장 임용문제 등으로 인해 단협을 타결짓지 못하고 있다. 노조는 편집국장 직선제를, 사측은 편집국장 임면제를 각각 주장하고 있다. 최홍운 전이사와 관련해 논란이 됐던 ‘대기발령 3개월후 자동면직’조항에 대해서는 협상이 진행중이다.



중앙노사는 지난달 21일 1차 단체교섭 상견례를 마치고 본격적인 교섭에 나서고 있다. 노조는 임협과 단협을 분리해 교섭을 벌일 방침이다. 노조는 임협의 경우 “사측이 체불임금(올 호봉승급분과 지난해 임금상승분(2%), 고과에 따른 능력가급분)을 지급하면 성실하게 임금협상에 임한다”는 입장이다.



이밖에 MBC노조는 이달 중순께 임협을 진행키로 한 가운데 우선협상 대상으로 신입사원 증원, 비정규직 처우개선 등 2개항을 사측에 요구해 놓은 상태다.



문화일보와 YTN은 11월초부터 교섭을 진행할 예정이며 국민일보는 지난 4월부터 임협을 시작했으나 소강상태이다. 한겨레의 경우 노사 공동으로 구성된 비상경영대책위원회가 가동됐기 때문에 임단협에 대한 논의를 하지 못하고 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