딩동댕동, 전국~ 노래자랑!
구순을 넘기신 할머니와 함께 산다. 가족들 모두 출근한 시간, 할머니의 ‘동무’는 텔레비전이다. 방송국으로 매일 출퇴근하는 나로선, 언젠가부터 집에서만큼은 TV를 일부러 켜지 않는 습관이 생겨버렸는데, 할머니는 내 리포트가 나오는 아주 잠깐도 놓치지 않으실 정도다. TV로 만나는 많고 많은 이야기들, 눈살 찌푸리게 하는 소식들이 많다지만 할머니에겐 반갑고 소중한 큰 세상 그 자체일 것이다.그런 할머니와 함께 앉아 TV를 처음 본 게 언제였을까. 까마득한 기억을 되짚어보니, 대여섯 살 때 주일 예배를 마치고 집에 돌아와 동생과 출출한
NYT에서 배우는 교훈 “기본부터 챙기자”
2014년 공개된 뉴욕타임스 혁신보고서가 던진 충격은 꽤 컸다. 디지털 유통 전략 부재로 독자를 빼앗기고 있다는 고해성사는 진솔하면서도 충격적이었다. ‘스노우폴’ 등으로 혁신의 대명사로 통했던 뉴욕타임스조차 디지털 전략 부재를 외치는 모습이 신선하게 받아들여졌다. 그들이 또 다시 ‘독보적 저널리즘(Journalism That Stands Apart)’이란 보고서를 공개했다. ‘2020그룹’ 명의로 작성된 이번 보고서는 ‘혁신보고서’와는 같은 듯 다르다. 디지털 혁신이란 거대 담론은 이젠 상식 수준으로 내려놨다. 대신 기본에 충실하고
겨울에 자전거 타기
그러니까 이건 어떤 자학에 대한 고백이다. 겨울에 자전거 타기. 왜 쩡 소리나는 겨울 맞바람을 사서 맞는지 이해 못하는 사람이라면 그 엄살에 동의할 것이다. 하지만 속내를 털어놓자면, 이건 어떤 쾌락에 대한 고백이다. 맨 몸으로 도심의 속도와 푸른 공기를 누리는 기쁨에 대한. 뭐 남들 다 타는 자전거, 뭐 그리 과장이냐 비난한다면 굳이 대꾸할 생각은 없지만서도. 스마트폰 앱 따릉이를 다시 연다. 서울시 공공 자전거. 지난 가을 무렵이라 어렴풋이 기억하고 있었는데, 사용한 내역을 제대로 확인해보니 9월18일이 시작이었다. 그동안의 운
2500조 국민연금, 자본시장의 괴물로 키울 것인가?
문형표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의 명함에는 기관명이 ‘국민(을 위한)연금’으로 표기돼 있다. 국민 노후를 책임지는 안전판으로서 역할을 다하겠다는 다짐을 담았다는 게 그의 설명이었다. 그런 그가 특검의 1호 구속자가 되고, 국민연금은 ‘최순실의 부역자‘ 노릇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이번 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은 국민연금이 가진 무소불위의 ‘자본 권력’에 있다. 국민연금기금 운용규모는 1988년 5300억원에서 시작해 2003년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어선 뒤 불과 12년 만에 500조원 이상으로 불어났다. 현재 그 규모는 550조원. 코
2017년 언론위기를 극복하려면
지난해 12월 시상식이 열렸던 기자협회의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 8건(취재·경제·지역분야) 중에서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게이트 관련기사가 무려 5건을 차지했다. 한 달 전인 11월 ‘이달의 기자상’ 수상작 5건(취재·지역분야) 중에서도 4건이 같은 사안이었다. 지난해 9월 이후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규명을 위해 기자정신을 치열하게 발휘해서 거둔 성과물들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관련 수상작들을 살펴보면 모두 과거에 일어난 일을 뒤늦게 파헤친 공통점을 갖고 있다. 박근혜 정부가 출범한 지 이미 4년이 다가온
박근혜 게이트와 북한 변수
북한이 의외로 조용하다.북한은 지난 17일 김정일 위원장의 5주기를 맞았지만 대규모 추모대회 외에는 군사적 행동을 취하지 않았다. 올해 내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한반도 긴장을 높여왔던 것과는 대조적인 행보다. 북한도 촛불정국을 의식하는 걸까.북한의 도발은 박근혜 게이트 정국의 주요 변수다. 박 대통령과 친박 세력이 거대한 촛불민심 앞에 무릎을 꿇는 듯 보이지만 북한 변수를 통해 정국의 반전을 노리고 있을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박 대통령은 정치적으로 코너에 몰린 상태에서도 유독 외치(군사외교) 권한을 유지하는 데 집착했다.…
‘판도라’와 ‘임을 위한 행진곡’
어떤 영화, 어떤 장면을 봐도 몰입이 되지 않던 요즘이다. ‘영화보다 더 영화같은’ 대한민국의 현 상황을 따라가기도 바쁜데, 팝콘을 들고 극장을 찾을 새가 어디 있으랴. 치맥을 준비해놓고 뉴스시간을 기다리는 이들이 늘고, ‘극장’보다 ‘광장’을 먼저 찾는 게 주말의 풍경이 됐다. 영화 시사회장에서 스치는 기자들과 영화인들은 “얼른 시국이 진정되야죠”로 인사를 시작하고, 배우와 감독들의 인터뷰는 “흥행 라이벌, ‘시국’을 이길 수가 없네요”로 허탈한 마무리를 하곤 한다. 그러다 ‘판도라’를 봤다. 4년 전에 쓰여졌다는 시나리오는 지금
‘포스트-트루스’ 시대의 진실 찾기
생각해보면 참 얄궂다. 어쩌면 나라 안팎 상황이 이리도 비슷할까. 영국 옥스퍼드사전이 ‘포스트-트루스(post-truth)를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는 뉴스를 접하면서 처음 든 생각이었다. 포스트-트루스는 ‘탈진실’ 정도 의미를 담은 단어다.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 등 연이은 충격적인 사건 여파로 큰 관심을 모았다. 시선을 국내로 돌리면 ‘포스트-트루스’는 한 발 더 들어간다. 물론 ‘최순실 국정농단’으로 촉발된 일련의 사건 때문이다. JTBC의 손석희 앵커는 이런 우리 상황을 ‘상실의
이 겨울에 읽을 만한 소설 두 권
시침 뚝 떼고, 겨울에 읽을 만한 소설 이야기를 해 보자. 일주일에 소설 한 편 읽을 시간마저 없다면 그게 사는 건가. 나라는 나라대로 바꾸고, 나는 또 나대로 살찌워야 할테니. 우선 읽고 나면 따뜻해지는 단편과 읽는 내내 낄낄거리게 되는 장편을 하나씩 추천한다. 성석제의 ‘믜리도 괴리도 없시’(문학동네)와 천명관의 ‘이것이 남자의 세상이다’(예담)이다. “개의 몸에 기생하는 진드기가 있다. 한 번 박은 진드기의 머리는 돌아 나올 줄 모른다. 죽어도 안으로 파고들어가 죽는다. 나는 그 광경을 ‘몰두’라 부르려 한다.”이게 성석제식…
최순실 게이트…‘지대추구 공화국’의 총체적 재앙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라고 했다. 최순실이 주도한 미르·K스포츠재단에 53개 기업이 774억원을 출연한 사실이 터져 나오자 한 대기업 고위 임원이 보인 반응이었다. 최씨의 국정농단은 충격적이지만 기업이 내는 준조세 자체는 별로 새로울 것도 없다는 얘기다. 정권별로 주체와 명목, 용처만 달라졌다는 설명이다. 군사정권 때는 ‘통치자금’이란 명목이었다. 전두환 전 대통령과 노태우 전 대통령은 각각 9000억원대와 5000억원대 비자금을 조성했다. 이후 ‘재단 설립’, ‘국책 사업’ 등으로 이름만 바뀌었다. 노무현 후보 캠프도 112억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