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방위원장 내준 야권, 방송개혁 의지 있나
MBC뉴스만을 시청하며 세상 돌아가는 일을 파악하는 이가 있다면 그에게 있어 ‘홍기택 전 산업은행장’이라는 인물은 아주 낯설게 느껴질 것이다. 그가 폭로한 국책은행의 부실기업(대우조선해양) 지원 과정 전말에 대해서는 더욱 알 수 없을 것이다. 뉴스를 통해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KBS뉴스만을 시청하는 이가 있다면 그 역시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9시뉴스에 한 번, 아침뉴스에 한 번 그 이름이 나오긴 했지만 전후좌우의 맥락과 상황이 상세히 다뤄진 게 아니라 식상한 ‘여야공방’ 프레임의 보도 속에서 짧게 언급되
위로금 달라는 김재철 전 사장의 탐욕
김재철 전 MBC 사장이 특별퇴직위로금을 달라며 MBC를 상대로 2억원대의 소송을 제기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그는 지난 3월 서울남부지법에 ‘특별위로금 등’에 관한 소송을 제기했다. 퇴직 시 위로금을 못 받았다는 게 소송 취지다. 김 전 사장은 2013년 3월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가 지방사 사장단 인사를 문제 삼아 해임안을 의결하자, 주주총회에서 해임이 확정되기 전 사퇴했다. 그런 그가 회사를 떠난 지 3년 만에 돌연 위로금을 달라고 소송을 냈다. 소송 규모만 2억3973만원이다. 잔여임기가 11개월이었으니 한 달에 22
여성을 오락거리로 만들지 말라
2016년 언론이 또 한 번 시험대에 올랐다. ‘강남역 살인사건’ 보도 과정에서 스스로 드러낸 ‘젠더 감수성’의 민낯 때문이다. 어쩌면 단순 사건사고 기사로 잊혀졌을 지도 모르는 한 20대 여성의 피살 사건이 사회현상으로 확대된 것은 언론에 대한 대중들의 큰 불신이 터지면서였다. 분노서린 추모 열기는 문제적 보도에서 시작됐다. 화장실에서 살해된 23세 여성 소식을 전하면서 한 언론사가 ‘강남 화장실녀’라는 제목을 달았다. ‘트렁크녀’ ‘대장내시경녀’처럼 피해자를 되레 비하하는 ‘○○녀’같은 혐오적인 표현을 쓰는 문제는 이번에도 한…
지역신문발전기금 폐지 반대한다
정부는 지역 신문을 적극 육성해야 한다. 지역이 존재하지 않으면 국가균형발전은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수도권 중심의 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거의 모든 경제가 수도권에 쏠리면서 우리나라의 ‘일극(一極) 체제’는 고착화됐다.국가균형발전은 헌법적 가치다. 국가균형발전은 비단 몇몇 국책사업을 지방에 떼어준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 지역의 역사와 산업, 문화 등 종합적인 로드맵을 구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수도권은 과밀화 해소에 따른 도시경쟁력 강화를 이뤄낼 수 있고, 비수도권도 국가공동체의 중심축이 될 수 있다.현
5·18에 다시 생각하는 언론자유
5·18 36주년이다. 보훈처가 5·18기념식에서 부르는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요구를 거부하며 뜨겁다. 36년의 시간이 흘렀지만, 아직 상처는 아물지 않고 있다. 그날의 국가폭력을 생생히 목도한 80년 해직기자들이 지난 16일 광주에서 기자회견을 했다. 5·18 왜곡 세력에 대한 엄단, 이명박 정권 이후 해직된 언론인들의 현장 복귀, 언론 탄압 종식을 촉구했다. 당시 처참한 광경을 목격하고 기사로 알린 외신기자들도 36년 만에 광주를 찾아 “역사적 사실을 지키기 위해 계속 싸워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기억과 망각 사이에…
공영성 후퇴 논란 부른 KBS 조직개편
KBS 조직 개편안이 지난 4일 야당 이사들이 퇴장한 가운데 임시이사회에서 통과됐다. 야당 이사들은 같은 날 성명을 통해 “공영성에 대한 고려는 전혀 없고 오직 효율성이나 수익성만을 강조한 개편안”이라고 비판했다. 언론노조KBS본부 역시 “공익적인 시사 프로그램과 다큐멘터리는 신음하다 고사할 것이고, 교양 프로그램은 감동과 공익보다 ‘말초적인 재미’에 내몰릴 것”이라고 원색적인 비난 성명을 냈다. 요컨대 반발의 핵심은 이번 개편안이 공영방송의 핵심 가치인 공영성을 외면한 채 수익성 확보에만 집착한 결과라는 것이다.고대영 KBS사장은
결국 이상호 기자 쫓아낸 MBC
“시사제작국에서 경력기자를 채용하기로 한 것은 좋은 시사보도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다.” MBC기자협회가 자사의 시사기자 경력 채용을 중단하라고 요구하자 이를 반박하는 MBC 시사제작국장의 말이다. 좋은 기자를 뽑겠다는 데 이견은 없다. 하지만 훌륭한 시사제작물을 만들 수 있는 기자들이 MBC에 넘치는데 왜 그들을 활용할 생각은 안 하는지 모르겠다. 오죽 답답했으면 MBC기자협회가 ‘MBC에 기자가 없는가’라고 했겠나. MBC는 2012년 파업 이후 70여명의 경력기자를 뽑았다고 한다. 경력기자들이 보도국 주요 부서를 채우는 동안
‘여성 혐오’ 부추기는 언론
최근 한 통신사가 독자의 빗발치는 항의 끝에 온라인 기사를 사흘 만에 삭제했다. 제목은 ‘소라넷은 어떻게 17년을 살아남았나’. 개인의 사생활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몰래카메라·리벤지 포르노 유포, 강간 조장 등으로 물의를 일으킨 국내 최대 음란사이트 소라넷이 경찰 수사로 서버가 폐쇄된 사안에 대해 이 사이트의 ‘운영자’로 1인칭 시점에서 ‘스토리텔링’을 했다.이 사건에 대한 누리꾼의 뼈아픈 지적들을 그대로 옮겨본다. “연합의 소라넷 기사를 ‘언론의 범죄자 감정 이입의 정점’이라고 생각하는데, 기본적으로 기자들은 피해자의 입장에 서기보
20대 국회에 바란다
차가운 겨울을 보내는 해직언론인들에게 봄이 찾아올 수 있을까.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은 희망의 싹을 틔울 수 있을까. 공영방송은 정권의 눈치를 보지 않고 오직 국민을 위한 언론으로 돌아올 수 있을까. 현실은 여전히 녹록지 않지만 변화의 바람은 불어오고 있다.총선에서 새누리당이 참패했고, 야당은 승리했다. 꽉 막힌 미디어 시장에 숨통을 틔워줄 수 있을까. 누구는 희망을 갖고, 누구는 패배의 경험에서 섣부른 판단을 경계한다. 그래도 변화할 수 있는 시그널이다. 20대 국회는 실타래처럼 얽힌 언론계의 현안을 직시하고 해결책을 찾는데 적극
세월호 기억하겠다던 약속, 어디로 갔나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꼬박 2년이 된다. ‘세월호 참사’라는 말의 의미에는 세월호라는 이름의 여객선이 침몰하고 탑승객들을 구조하지 못해 295명이 사망하고 9명이 실종됐다는 사실관계만이 담겨있지 않다. 그 이후 발생한, 이 사건을 둘러싼 수많은 사회적 갈등과 논란, 상처가 함께 침윤돼 있다. 그래서 본래 슬프고 무거운 의미로 기념되어야 할 ‘세월호 참사’에 깊은 답답함과 나아가 마주하고 싶지 않은 사건이라는 의미가 추가되었다. 그것은 유가족들과 많은 시민들이 바라는 진상규명의 출구가 좀처럼 보이지 않고 있는 데서 기인한다. 더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