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역량 왜 기자에게 떠넘기나
방송, 라디오, 신문을 불문한 많은 전통매체들이 자사 기자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재교육을 서두르고 있다. 웹을 넘어 모바일 중심으로 뉴스 콘텐츠의 소비 플랫폼이 급격하게 이동하는 현실을 피부로 체감하는 데 따른 대응이다. 종이신문 구독률은 스마트폰의 대중화와 더불어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고, 라디오는 팟캐스트와 스트리밍 서비스에 위협받고 있으며, 방송은 채널 다변화를 넘어 ‘N스크린’의 등장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이제 디지털은 강 건너 남의 일이 아니다. 기사 어뷰징으로 페이지뷰를 올리는 ‘꼼수’는 장기전략이 될 수 없다. 저널리즘
언론계를 청와대 인력공급처로 생각하나
지난 24일은 유신독재 시절 동아일보 기자들이 자유언론실천선언을 발표하면서 언론자유를 위한 투쟁에 나선 지 41주년이 되는 날이었다. 긴 세월 동안 기꺼이 ‘거리의 기자’가 됐던 백발의 선배들은 이날 “패배주의와 무기력을 떨치고 자유언론을 살리기 위한 싸움에 나설 것”을 후배들에게 호소했다. 또 “박근혜 정부의 친위대에 장악된 공영방송이 공정방송과 정반대의 길을 가고 있다”고도 했다.노기자들의 절규가 있은 다음날인 25일 박근혜 대통령은 공석인 청와대 대변인에 정연국 전 MBC 시사제작국장을 임명했다. 정 전 국장은 MBC의 대표적
‘부적격 인사’만 가득한 KBS 사장 후보들
설상가상(雪上加霜)에 첩첩산중(疊疊山中)이다. 개선의 여지, 희망의 조짐이 도무지 보이지 않는다. 체념과 좌절이 쌓여갈수록 일상은 무기력해지고 변화의 열망은 무뎌진다. 새 사장 선임을 앞둔 공영방송 KBS의 이야기다. 지난 14일 마감된 차기 사장 공모 지원자 14명의 명단이 공개된 뒤 KBS 구성원들은 참을 수 없는 실망감을 쏟아냈다. 대부분 지난해 공모에 출사표를 던진 바 있는 이른바 ‘단골 후보’들인 까닭이다. 그 가운데는 ‘표적 심의’ 논란을 일으켰던 권혁부 전 방송통신심의위원회 부위원장과 ‘편파 방송’ 논란을 불러왔던 이정
방송의 ‘국정화’ 우려된다
하는 둥 마는 둥 진행되던 국정감사에 이목을 집중시킨 벼락스타가 탄생했다. MBC 대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의 고영주 이사장. 국정감사장에서 그는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공산주의자임을 확신한다”고 반복해 말했다. 또 “노무현은 변형된 공산주의자” “문재인 대표에게 투표한 국민은 이적행위”라고도 했다. “사법부와 검찰에 김일성 장학생이 있다” “국사학자 90%가 좌경화” 등의 황당한 주장을 마음껏 펼쳤다. 방문진 이사장의 발언 파문이 확산되는 가운데 KBS 이사회의 조우석 이사도 토론회에서 “문재인은 공산주의자”라고 발언
경찰의 기자폭행 묵과할 수 없다
경찰이 취재 중인 기자의 목을 조르고 강제연행을 시도한 일이 발생했다. 기자가 취재를 방해하지 말라며 저항했지만 소용없었다. 공권력의 남용이자 국가권력의 분명한 폭거다.사건은 지난달 23일 민주노총의 총파업 집회를 취재하던 한겨레 김규남 기자가 경찰의 캡사이신 최루액 살포와 강압적인 해산 과정을 동영상에 담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경찰이 방패로 기자를 밀치며 거칠게 대했고, 기자가 “취재를 방해하는 거냐”며 항의하자 갑자기 뒤에서 목을 조르며 강제로 연행을 시도했다. 취재기자임을 거듭 밝혔음에도 상관없다는 식으로 폭력을 행사했다. 경
새누리 포털보고서와 포털의 갈 길
새누리당의 ‘포털 모바일뉴스 분석 보고서’가 정치적 논쟁에 휘말리며 국감장을 달궜다. 보고서가 주장한 정치적 편향성이 자의적 기준에 의한 것이 드러나며 더 뜨겁게 달아올랐다. 보고서는 정부 부처의 명백한 잘못을 지적한 기사조차 여당에 부정적 기사로 분류, 네이버와 다음이 여당에 불리한 기사를 야당보다 10배 더 노출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보고서의 순수성을 그대로 믿는다 치더라도 포털에 비판과 부정기사가 많다는 것은 언론이 권력에 대한 감시와 견제를 충실히 했다는 것인데도, 이를 편향성으로 몰고 가는 것은 아전인수식 해석이 아닐 수
언론 본분 잊은 공영방송 KBS
KBS 1TV ‘도전! 골든벨’의 세월호 발언 편집 논란으로 공영방송이 또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6일 방영된 경기도 안양 부흥고등학교 편 녹화 당시 한주연 학생이 세월호 사고로 숨진 삼촌 김웅진 학생을 언급하며 ‘세월호를 잊지 말아달라’는 내용의 발언을 했으나 전파를 타지 못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기 때문이다. KBS는 ‘제작 과정에서 여러 가지를 고려해 편집했을 뿐’이라며 정치적 의도를 부인했지만 여론의 눈초리는 매섭다. 윗선에서 불편하게 여길 만한 내용을 알아서 삭제한 제작진의 ‘자체검열’이란 의혹과 비난이 인터넷과 SN
로봇 저널리즘, 기자 위협하나
10년의 격변기를 거쳐 때는 2025년. 큰 플랫폼을 가진 언론사는 흥하고, 플랫폼을 확보하지 못한 채 콘텐츠 공급자로 전락한 중소규모 언론사는 점점 더 어려지면서 언론사 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됐다. 살아남은 언론사들도 여전히 허리띠 졸라매기에 안간힘을 쏟고 있었다. 그 방편 중의 하나가 ‘로봇 기자’의 도입이었다. 비용을 줄이려는 언론사들에게는 ‘사람’ 기자를 고용할 때 드는 돈보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돌아가는 ‘로봇’ 프로그램을 구입할 때 드는 비용이 훨씬 저렴하다는 이유에서였다.로봇 기자를 관리하는 편집국 담당자의 일
공정성 의심받는 방통심의위 제재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통심의위)가 KBS 9시뉴스에 중징계를 내렸다. KBS가 지난 6월24일 보도한 ‘이승만 정부가 한국전쟁 발발 직후 일본에 망명을 신청했었다’는 뉴스가 공정성과 객관성을 위반했다며 ‘주의’ 조치를 내린 것이다. KBS는 일본 정부의 문서와 미국의 문건을 확인해 보도했지만 날짜가 확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법정제재를 받은 것이다.논란이 되는 보도 사안은 언론중재위원회와 법원에서 치열한 논쟁과 사실 확인, 법리분석이 따르도록 되어 있다. 방송사 인허가에 관련된 제재는 언론중재위와 사법부에서 보도에 문제가 있었다는 확정
인터넷언론 보도윤리 지켜야
SNS(사회관계망서비스)가 활발해지며 글과 사진에 대한 저작권 시비가 불거지고 있다. 최근 위키트리가 배우 김의성씨 트윗을 허락없이 기사화한 뒤 논란이 커지고 있다. 김씨가 지난 19일 트위터로 ‘동료 배우들 썰을 좀 풀어볼까’라며 동료 배우들에 대한 인상평을 남겼는데, 위키트리가 이를 퍼가 기사화한 것이다. 김씨가 사전에 동의도 구하지 않았음은 물론 불쾌하다며 기사 삭제를 요구하자, 위키트리가 ‘저희 스토리텔링 정책은 이렇습니다’라며 삭제를 거부해 논란이 증폭됐다. 김씨는 사생활과 저작권 침해를 들어 법적 다툼을 예고했다.과거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