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오바마 시대의 신 대북 전략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기 행정부에 존 케리 상원의원을 국무장관에 기용키로 한 결정은 한국의 지지를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외교부의 미국측 주요 인사 기록카드에서 케리 지명자는 지한파(知韓派) 인사로 분류돼 왔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측과 정부 관계자들은 ‘케리 국무장관’을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케리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당시 자신이 속한 민주당이 당론으로 반대할 때도 한·미 FTA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또 한·미 동맹이 미국의 동북아 정책
중국 ‘남방주말’ 파업 사태와 우리 언론
새해 들어 중국 당국의 기사 사전 검열로 촉발된 진보 성향 주간지 ‘남방주말’의 파업 사태가 기자들과의 합의로 일단락됐다. 하지만 그 여진은 계속되고 있다. 홍콩발 보도에 따르면 남방주말 파업을 지지한 시위가 사옥 근처에서 계속되자 당국은 여지없이 시위 참가자들을 연행했다.남방주말을 성원하던 연예인과 다른 유명 인사들도 중국 당국의 경고를 받았다. 재미있게도 차(茶)의 나라인 중국에서 당국자의 경고는 “차 한잔 마시자”로 통한단다.일당 독재 중국에도 언론 자유의 바람이 불까. 아직은 조심스
지긋지긋한 단일화 왜 없애지 못할까?
2012년은 단일화로 시작해 단일화로 끝났다. 4월 11일 제19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는 민주통합당 후보와 통합진보당 후보 사이에 단일화가 진행됐고 12월 19일 대통령 선거를 두고서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후보 사이에 단일화가 진행됐다.경남의 경우 4·11 총선서는 16개 모든 선거구에서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 사이 단일화가 이뤄졌으나 김해갑에서만 민주통합당 후보가 이겼다. 거제가 무소속이 당선(나중에 새누리당 입당)됐고 나머지 모든 지역은 새누리당이 승리를 가져갔다. 창원 성산구와 거제에서는 진보신
“열심히 하는 수밖에”라던 그 말
3년 반 전이었다. 이른바 ‘7·7 디도스 사태’가 한창이던 시기에 편집국으로 복귀해 다시 정보기술(IT) 분야를 취재하기 시작했던 때였다. 복귀 후 첫 기사는 정보보안업체 안랩의 김홍선 대표 기자회견. 그가 했던 말이 기억난다. “이런 일 여러 번 겪어 봤다.” 잊을만하면 터지던 정보보안 사고 얘기였다.이후 그 말이 예고였던 것처럼 2011년 4월 농협 전산망 마비 사태가 있었고, 6월에는 SK커뮤니케이션즈의 회원 3500만명의 개인정보가 해킹으로 유출됐으며, 11월 게임업체
검찰과 언론의 공통점과 차이점
이명박 대통령 임기를 두 달여 남겨놓은 지금, 언론과 검찰을 생각해본다. 둘 다 지난 5년 동안 만신창이가 되었다.사회 현안을 보도해야 할 언론은 지난 5년 내내 스스로 사회적 현안이 됐다. 정부가 사장 선임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모든 언론사들이 5년 내내 홍역을 앓고 있다. 어느 정부나 우호적 언론 환경을 만들어보려고 영향력을 행사하려 드는 건 계속 봐왔던 일이다. 나는 노무현 정부 때 언론 편가르기가 심해졌다는 지적에도 대체로 동의하는 사람이다. 하지만 그런 내가 보기에도 지난 5년 동안의 언론판은 전쟁터 그 자체였다. 아
인어공주 전상서
수 년 전 대통령 선거전에 뛰어들어 열심히 후보를 도왔던 어떤 중견 연극인을 기억한다. 선거가 끝나고, 축제가 끝나고, 언제 그랬냐는 듯 사람들이 제각각 자신의 생활로 조용히 돌아갔을 무렵 그도 대학로의 조그만 극장에서 1인극을 올렸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나는 평소와 다를 바 없는 그의 연기에 집중을 할 수 없었다. 그도 배우이기에 객석의 반응을 피부로 느꼈을 것이다. 사람들은 환상에 빠지기 위해 돈을 내고 극장에 간다. 그게 예술의 본질이다. 그런데 그는 더 이상 환상을 줄 수 없었다. 배우에겐 어쩌면 목숨과 다름없다 할 수 있는
이건희 회장이 남긴 절반의 약속
이건희 삼성 회장이 11월30일 취임 25주년 기념식을 가졌다. 이 회장은 “취임 초 삼성이 망할지도 모른다는 위기의식을 절감해 신경영을 선언하고 낡은 관행과 제도를 과감하게 청산했다”고 감회를 밝혔다. 이 회장 취임 이후 삼성이 거둔 성과는 눈부시다. 취임 직전인 1987년 삼성 매출은 17조7000억원이었는데 지난해는 273조원으로 무려 15.4배 늘었고, 순이익은 1230억원에서 20조원으로 164배 늘었다. 재계 1위 삼성의 위상은 세계적이다. 미국 ‘포춘’이 발표한 2012년 글로
한국 대통령을 기다리는 외교안보 1순위
지난 10월 한일(韓日) 양국은 외환(外換) 부족위기에 대비한 통화스와프 계약을 더 이상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 우리나라의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일본 재무성과 일본은행은 당시 공동 발표문에서 “한일 양국 간 통화스와프 계약 규모를 일시적으로 확대하기로 한 조치를 예정대로 만기일에 종료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지난 8월부터 계속된 한일 통화스와프 연장 논란이 일단락된 것이다.양국이 어려울 때 서로 돕기로 한 700억 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를 종료한 것은 8월10일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으로 시작된 갈
앵그리 397세대, ‘어떡하지?’
‘부모 도움 없이 중산층에 진입할 수 없게 된 첫 세대’.‘397세대’ 얘기다. 30대이면서 90년대 학번인 70년대생을 말한다. 서태지와 HOT에서 시작된 아이돌 문화의 자장권에서 10대를 보낸 첫 세대다. 경제적으로 가장 큰 소비계층이 된 데 이어 문화 권력까지 잡았다. 영화 ‘건축학 개론’과 케이블TV 드라마 ‘응답하라 1997’의 주인공이 397세대다. 필자도 이 세대다.397세대 앞에 붙는 수식어는 ‘앵그리(Angry&middo
미얀마는 북한의 미래?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미국의 역사를 다시 썼다. 최초의 흑인 재선 대통령으로 4년을 더 이끈다. 사실 이번 미 대선을 놓고 세계인이 투표한다면 이미 당선자는 오바마였다. 세계화 시대에 백악관의 주인이 바뀌는 것은 더 이상 미국만의 일이 아니다. 이웃 중국에서 시진핑을 비롯한 제5세대로의 지도부 교체도 마찬가지다. 오바마 대통령이 다시 집무를 시작하면서 그의 첫 순방국이 관심을 끌었다. 바로 동남아 미얀마다. 미얀마가 어떤 나라인가. 근 반세기 동안 군부 독재 치하에서 약 20년 동안 거듭된 가택연금에 처한 아웅산 수치 여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