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기자다
한국기자협회 47번째 생일인 오늘, 대한민국 기자들이 맞는 잔칫상은 결코 여유 있어 보이지 않는다. ‘미디어빅뱅’을 앞두고 신문, 방송, 통신, 인터넷매체 어느 하나도 거친 파고를 피하기 쉽지 않아 보인다. 말 그대로 대격변이 시시각각 언론현장에서 일어나고 있다. 실제로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전문채널, 민영통신사 등 신규언론사의 탄생으로 기자들의 이동도 눈에 띄게 늘고 있다. 또한 트위터, 페이스북 등 SNS의 등장으로 기자들의 속보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기자들의 저널리스트로서 자존감은 점차 무너지고 있다. 점차…
김재철씨, MBC를 떠나라
막장 드라마보다 더 갈 데까지 갔고, 삼류 코미디보다 더 수준 이하다. MBC 김재철 사장과 방송문화진흥회(방문진)가 국민들 앞에서 ‘쇼’를 하고 있다. 이들이 지난 닷새간 펼친 쇼를 보면 헛웃음이 나올 지경이다.김재철 사장은 지난달 29일 대주주인 방문진에 ‘느닷없이’ 사직서를 제출했다. 직원들은 그 이유조차 정확히 모르고 있었다. 홍보팀 쪽에선 부랴부랴 “김 사장이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지역 MBC 통폐합이 난관에 부딪히자 사의 표명이라는 승부수를 던진 것 같다”며…
KBS는 진실을 밝히라
민주당 도청 의혹사건과 관련해 KBS는 아직까지도 “그 어떤 도청 행위도 없었다”거나 “어느 누구도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에게 녹취록을 전달하지 않았다”고 명확하게 밝히지 못하고 있다. 다만 “민주당이 주장하는 식의 도청은 없었다”며 불법도청에 대한 법적 책임은 비껴가겠다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을 뿐이다. 우리는 불법도청이냐, 아니냐를 가리는 사법당국의 판단에 앞서 이번 사태의 본질은 KBS가 과연 언론사로서 자격이 있느냐에 대해 KBS 스스로 답할 수 있는지에 대한…
‘KBS 수신료’ 둘러싼 도청 주체 밝혀내야
과연 KBS가 수신료를 인상시킬 자격이 있을까? 지난달 23일 비공개로 열린 민주당의 ‘수신료 대책 회의’ 도청의혹 사건이 진행되면서 국민들이 KBS에 대해 가진 절망감이 점차 심화되고 있다. 우리는 일부 KBS기자들의 행태를 보면서 수신료 인상을 위해 언론의 정도까지 저버려야 하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동시에 사건을 일으키고 무책임한 언행을 일삼는 한나라당 한선교 의원에 대해서도 질책을 가하지 않을 수 없다. 공당에 소속된 국회의원이 자신이 행한 발언의 근거가 어디서 나왔는지 밝히지도 못한 채 “
수신료 인상보다 공공성 회복이 먼저다
KBS 수신료 인상 법안처리가 6월 국회에서 사실상 무산됐다. 28일 저녁 늦게까지 국회 문화체육방송통신위원회는 여야 의원간의 몸싸움으로 하루 종일 몸살을 앓았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수신료 인상안을 반드시 처리해야 한다”며 수적 우위를 앞세워 강행 처리하려는 시도를 계속했고, 민주당 의원들은 문방위 회의장에서 의원총회를 소집하며 사실상 회의장을 점거했다. 또 문방위 소속 여성 의원을 의장석에 앉힌 뒤 남성 문방위원들이 호위하며 사실상 의장석을 점거하는 실력 행사로 맞섰다. 수신료는 전 국민이 부담해야 하는 준
종편 광고 미디어렙 통해 이뤄져야
첫 단추를 잘 꿰어야 나머지 단추도 잘 꿸 수 있다. 각종 특혜와 의혹을 안고 시작하다 보니 나머지 부분이 다 흐트러지는 형국이다. 바로 종편을 두고 하는 말이다. 종편 채널 도입은 정부와 여당이 이미 결론을 정해 놓고 시작한 특혜와 의혹의 산물이 돼 버렸다.여론 다양성 확보와 2만명 이상의 고용창출 효과 등 앞뒤가 맞지 않는 논리를 내세워 친 정부적인 신문사에 지상파와 버금가는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종합편성 채널 사업권을 안겨줬다.종편 도입에 산파 역할을 한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이런 특혜 시비에도 불구하고 이제는 종편의 먹
최시중 위원장 눈에는 종편만 보이나
지난 3일, 무려 6개 방송사가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토론회를 생중계했다. 그의 TV 토론회 출연은 다소 의외였다. TV 카메라 앞에 서는 것을 주저했던 최 위원장이 토론회에 나섰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재직시절 가장 잘못된 업적으로 평가받는 ‘종편’을 살리기 위해 TV 앞에 나왔다는 여실히 보여줬다. 최 위원장은 “종편에 직접 광고 영업을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종편이 걸음마를 뗄 수 있을 때까지 신생 매체로서 각별하게 보살펴줘야 한다”고 했다.최
인권보도에 ‘관용’은 없다
국가인권위원회와 한국기자협회가 공동기획한 인권보도 시리즈가 기자협회보에 연재된 뒤 동료 기자들의 반응은 한결같았다. “무심코 써온 표현이 인권을 침해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지면에 싣기 전까지 취재기자에서 시작해 데스크와 편집, 교열기자들까지 3중, 4중의 절차를 거치면서도 표현이 걸러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언론의 인권 무관심을 절감케 한다. 이번 기획보도를 통해 언론이 얼마나 공공연하게 ‘언어폭력’을 저질렀는지 자성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아직도 갈 길이 멀다. 시리즈가 연재되는 와중
언론, 고엽제 진실 끝까지 파헤쳐야
주한미군 기지에서 근무했던 한 군무원의 증언으로 한반도에서의 고엽제 문제가 또 다시 쟁점으로 떠올랐다. 1978년 경북 칠곡의 캠프 캐럴에서 근무했던 스티브 하우스씨는 피닉스의 한 지역방송국과 인터뷰에서 한국에서 근무할 당시 ‘상부의 명령’으로 기지 뒷산에 노란색 드럼통 2백50개를 묻었다고 폭로했다. 사건이 표면에 떠오르자 주한미군은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성명을 발표하고 현장을 공개했다. 한·미 양국이 이 문제의 해결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했고, 이번주 부터는 모
‘과학 없는’ 과학벨트 보도
“언제까지 과학기술은 존재감 없이 주체적 구실을 하지 못하고 종속변수로 머무를 것인가?”단군 이래 과학계 최대 프로젝트라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 사업이 정치이슈에 휘말릴 때마다 국내 언론은 예외 없이 이런 비판을 쏟아냈다. 실상, 과학벨트는 과학기술 분야에서는 드물게 여권 내부 계파별 나아가 여야 간에 정치논리로 무장한 정쟁, 또한 지역 간에 심각한 이해관계의 갈등을 초래한 ‘대표 국책사업’이었다. 그러면 정작 언론은 과학의 존재감 부여에 제대로 역할을 했는지는 의문을 갖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