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직업 위협하는 AI
1970년대에는 택시 기사 월수입이 10~15만원이었다. 이는 당시 대기업 신입사원 월급에 버금가는 돈이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개인택시는 중산층의 상징이기도 했다. 택시 자체가 큰 자산이었다. 1976년 처음 나온 ‘포니’는 200만원이었다. 당시 잠실주공 15평 아파트가 400만원이었다. 상당한 직업적 숙련도 필요했다. 운전을 할 줄 알아야 했다. 1972년 운전면허 소지자는 60만명으로 전체 인구(3350만명)의 1.8%만이 운전을 할 줄 알았다. 길을 잘 알아야 했고, 기본적인 자동차 정비도 할 수 있어야 했다. 영업력
어느 나라 언론은 문제가 없을까
올해 4월에 발행된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이슈 ‘인포데믹 탐색하기’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은 영국, 미국, 독일, 스페인, 아르헨티나 등 6개국 중에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언론사로부터 가장 많이 얻었다. 코로나19 출처로서 언론사를 신뢰하다는 비율은 한국(67%)이 6개국 중 최고였다(영국 60%, 미국 52%, 독일 58%, 스페인 51%, 아르헨티나 63%). ‘뉴스미디어가 코로나19 팬데믹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고 응답한 비율은 한국(65%)이 아르헨티나(67%)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으며 ‘뉴스미디어가 코로나19 판
기성 언론과 인천공항 비정규직
신문만 보면 인천국제공항공사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제로 온 나라가 들썩이는 듯하다. 알바를 하다가 연봉 5000만원이 됐다는 ‘가짜뉴스’가 사태를 키웠다는 관점도 있지만, 이 현상이 ‘청년’ 일반에 퍼져 있는 어떤 인식의 반영이라는 점을 외면하기는 어렵다.이른바 ‘취준생’들의 세계관은 설명하자면 이런 거다. 직업은 신분이다. 연봉의 액수와 함께 대기업이냐 중소기업이냐, 정규직이냐 비정규직이냐, 직무의 성격이 남에게 자랑할만한 것이냐 그렇지 않느냐에 따라 계층화 돼있다. 이 신분은 일단 한 번 득하면 이직에 성공하는 특별한 경우가 아
'논란' 저널리즘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에서 ‘논란’을 키워드로 기사를 검색했다. 올해 1월1일부터 6월20일까지 제목에 ‘논란’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기사의 수는 총 1만2207개였다. 이 중 사회로 분류된 것이 3746개, 정치로 분류된 것이 3702개로 전체의 61% 가량을 차지했다. 언론사별로는 세계일보가 970개로 가장 많았고 매일경제 964개, YTN 769개, 조선일보 667개, 머니투데이 629개 순이었다. 전체적으로 경제지가 논란이라는 단어를 제목에 많이 포함시키고 있었으며 중앙지, 방송사, 지역지가…
'악의'를 감별하라?
팔을 휘두르다 다른 사람의 코를 쳐서 체포된 사람이 “자유국가에서 나는 팔을 자유롭게 휘두를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판사는 “당신 팔을 휘두를 권리는 다른 사람의 코가 시작되는 곳에서 멈춘다”고 답한다. 법 철학자 챠피(Chafee)가 충돌하는 권리 간 경계를 짓는 법의 역할, 이익형량의 원칙을 보여주기 위해 소개한 일화다. 최근 발의된 언론중재법 개정안은 언론사가 “악의적”으로 인격권을 침해한 경우 손해액의 3배까지 배상토록 한다. 언론의 자유를 팔을 휘두를 자유로, 인격권 침해를 그 팔에 맞아서 다친 코에 비유하면, 흉기를…
상처 주는 언론, 상처 입는 언론인
31년 전 겨울 수습기자 시절, 매일 새벽마다 내가 해야 하는 일 중 가장 괴로웠던 것은 ‘영안실 보고’였다. 취재구역 내 주요 병원의 영안실을 돌면서 느낌이 심상찮은 빈소가 있으면 상주에게 망자의 사인을 확인해야하는 일이었다. 새벽 3, 4시. 문상객도 아닌 사람이 다짜고짜 고인의 사인을 물어보는 일이 상주에게는 얼마나 황당한 일이었을까. 묻는 나로서도 입이 안 떨어지는 일이었지만, 보고를 못해 선배에게 추궁 당할 생각을 하면 평소의 나로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도 하게 됐다. 동기들 중에는 그러다가 상가에서 멱살잡이를 당하는 경우
이용수와 윤미향
지난 5월7일 이용수 할머니의 기자회견으로 촉발된 ‘정의기억연대(정의연) 논란’은 많은 것을 돌아보게 한다.이용수 할머니는 기자회견에서 정의연과 윤미향 전 이사장에 대한 원색적 비난을 쏟아냈지만, ‘한·일 후세에 대한 교육’ 등 위안부 운동의 지향점을 분명히 했다. 할머니의 지적은 본질이 아닌, 방법론에 국한된 것으로 해석된다. 언론은 옥석을 가려줘야 한다.먼저 윤미향 의원을 보자. 회계부실은 분명하다. 그러나 횡령 부분은 의혹을 제기할 여지는 있되, 근거는 없다. 현재까진. 그래서 제목 등을 통해 횡령을 기정사실화하는 듯한 보도는
대충 써서는 살아남을 수 없다
수습 때 ‘사수’는 항상 과제로 제출한 기사를 프린트해 나를 옆에 앉혀 두고 “이건 기사가 아니야”라고 핀잔을 줬다. 난 분명 하얀 종이에 프린트를 했는데, 종이는 붉은 색 플러스펜 자국으로 얼룩덜룩했다. 사수는 형용사와 부사를 혐오했다. 대신 ‘역피라미드’ 구조를 사랑했다. 기자의 주관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 형용사와 부사를 제거하고 메시지를 간결하고 확실하게 전달하기 위해 역피라미드 구조로 기사를 써야 한다고 했다. 수습의 수는 익힐 수(修)자이지만 사수는 짐승 수(獸)를 써서 “수습은 아직 사람이 아닌 자”라고 했다. 쑥과 마
코로나 시대에 기후변화 보도가 더 중요한 이유
지난달 한겨레신문에 기후변화팀이 생겼다. 국내 종합일간지 중 처음이다. 한겨레 박기용 기자는 9일 기후변화팀장으로서 쓴 첫 기명칼럼에서 “기존 환경·에너지·기상·과학 담당 기자들을 한 팀으로 하고, 팀장을 추가한 정도지만 한겨레가 이 문제에 이전과 다른 관심과 의지를 갖고 취재하고 기사를 쓰겠다는 의미”라고 소개했다. 그의 말에서 느껴지듯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 위기의 문제지만 한국 언론은 지금까지 보도에 다소 소극적이었다. 당장 눈에 보이는 피해가 적은데다 성장을 미덕으로 여기는 사회 분위기 탓이 컸다. 전문가 중심의 언어도 장벽이
‘부정선거 음모론’에 날개 달아준 정파적 보도
2017년 대선 이후 문재인 대통령 당선 무효 소송이 7건이나 제기됐다. 이중 ‘18대 대선 선거무효소송인단’은 법적 근거 없이 전자개표기(투표지분류기)를 도입해 선거결과 조작 가능성이 있다며 2012년뿐 아니라 2017년 대선도 부정선거라고 주장했다. 물론 대법원은 이들의 주장이 근거가 없다며 2017년 8월에 기각했다. 2020년 일부 유튜버와 정치권이 ‘부정선거 음모론’을 또 제기했다. 올해 총선이 “빼박 조작선거”라고 주장하는 민경욱 미래통합당 의원이 ‘세상 뒤집어질 증거’라고 제시한 것은 “서초을 사전투표지와 분당갑 투표지